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에너지및자원개발

석유 도입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배경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에 등록된 석유정제업자들은 원유를 정제하여 석유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국제 시장에서 원유를 도입한다. 2006년도의 원유도입량은 889백만 배럴로 2005년의 원유도입량 843백만 배럴보다 5.4% 증가하였다. 이처럼 원유도입량이 증가한 것은 국내 석유소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부분의 소비증가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석유제품 수출의 증가세에 기인한다.
내용
2006년도의 원유도입을 지역별로 보면,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로부터의 도입이 크게 증가하여 중동지역의 원유도입량이 전년대비 6% 증가하였고 중동의존도도 전년도의 81.8%에서 82.2%로 높아졌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의 원유도입도 브루나이, 나이지리아 등으로부터의 도입이 크게 증가하여 아시아 도입비중이 12.6%, 아프리카 도입비중이 4.6%를 기록하였다.


제 2차 석유위기 이후 적극적인 도입선다변화 정책으로 1980년에 98.9%까지 이르렀던 중동의존도가 1985년 57%까지 낮아졌으나, 1986년 이후 중동산유국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증산 경쟁 등으로 중동의존도는 점차 높아져 왔다. 향후에도 동남아지역의 자체 수요 증가로 인한 수출여력 감소, 아프리카 및 남미지역의 원거리 수송에 따른 수송비 부담으로 중동지역으로부터의 도입비율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2006년 국가별 원유도입 현황을 보면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국내 전체도입물량의 31.4%를 도입하여 전년에 이어 가장 많은 물량을 도입하였으며, 그 다음이 UAE(17.8%), 쿠웨이트(12.4%), 이란(8.4%), 카타르(5.6%)순으로 상위 5개국 의존도가 전체 석유도입의 7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 국가수는 1980년 9개국, 1995년 23개국, 1997년 26개국, 2002년 33개국, 2003년 30개국, 2004년 29개국, 2005년 29개국, 2006년 27개국으로 늘어났으며, 지역별로는 중동 8개국, 동남아 8개국, 아프리카 8개국, 대양주 1개국, 미주 2개국으로 나타났다.


원유도입의 형태는 현물 도입 비중이 34.1%로 전년대비 1%p 상승한 반면, 기간계약에 의한 도입 비중은 66.9%에서 65.9%로 하락하였다.


한편, 2006년 원유도입 단가(CIF)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전년 대비 $12.3/배럴 상승한 $62.83/배럴을 기록하였다. 원유도입금액은 2006년 기준으로 55,846백만달러로 국내 총수입금액의 약 18%를 차지하고 있어 단일 품목으로 최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유가 추세 지속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은 국제수지 및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국제석유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응능력 제고와 석유수요 관리대책이 요구된다.
참고자료

산업자원부,《산업자원백서》, 2006

지식경제부(http://www.mke.go.kr)

한국석유공사,《월간석유수급동향》, 2007.1
집필자
이달석(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보통계센터 선임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