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산업/중소기업

나로호 발사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배경
항공우주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사업으로써 전후방 파급효과와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산업이다.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우리발사체로 우리 땅에서 발사함으로써 우주 강국을 향해 도약을 이루는 동시에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을 전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나로호 발사가 추진되었다.


1992. 8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KITSAT-I, KaIsT SATtlite) 발사로 인공위성 보유국가로 등록
1993.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 관측로켓인 1단형 고체추진체 과학로켓 1호(KSR-I, Korea Sounding Rocket)·2호(KSR-II) 및 우리별 2호(KITSAT-II) 발사
1995. 8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1호(KOREASAT-I) 발사
1996. 4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우주개발계획인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수립
1996. 1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2호(KOREASAT-II) 발사
1997. 7 한·미 미사일 협정(Missile Guideline) 체결(발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1998. 6 중형(2단형) 고체추진체 과학로켓 2호(KSR-II) 발사
1998. 8 북한, 대포동 1호·인공위성 광명성 1호 발사
1998.11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1차 수정
1999. 우리별 3호,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3호(KOREASAT-III) 및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1호(KOMPSAT-I,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발사
2000.12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2차 수정
2001. 1 한·미 미사일 협정 1차 개정(발사거리 30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2001. 1 고흥 외나로도 우주센터 부지 선정
2001. 3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가입
2002.11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체 과학로켓 3호(KSR-III) 발사
2002. 8 KSLV-I, 소형위성발사체(KSLV-I, Korea Space Launch Vehicle) 개발 계획 확정
2003. 9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 관측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STSAT-I,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 발사
2004. 9 KSLV-I, 한·러 우주기술협력협정 체결
2004.10 KSLV-I, 한·러 발사체시스템(KSLS, Korea Space Launch vehicle System) 협력계약 체결
2005. 5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3차 수정
2005. 5 「우주개발진흥법」 제정
2005.12 KSLV-I, 발사체 시스템 상세설계 완료
2006.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KOMPSAT-II) 및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5호 (KOREASAT-V) 발사
2006. 9 KSLV-I, 발사체 상단(2단) 엔지니어링 모델 개발 완료
2006.10 KSLV-I, 한·러 우주기술보호협정 체결
2007. 6 제1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07~2016) 수립
2007. 9 KSLV-I, 발사체 상단(2단) 인증모델 개발 완료
2007.12 KSLV-I, 한·러 기술협력계약 변경(개발 일정 및 발사 시기 확정)
2008. 4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이소연氏) 탄생
2008. 8 KSLV-I, 발사체 상단(2단) 비행모델 개발 완료
2008. 8 KSLV-I, 러시아 제작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 Ground Test Vehicle) 인수
2008.11 KSLV-I,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를 이용한 조립동 인증시험 완료
2009. 4 KSLV-I,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를 이용한 발사대 인증시험 완료
2009. 5 나로호(KSLV-I) 이름 결정
2009. 6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장(나로우주센터) 준공
2009. 7 KSLV-I, 발사체시스템(KSLS) 최종 인증
2009. 8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A) 발사
2009. 7 나로호(KSLV-I) 비행모델 총조립 및 발사 운영시험
2009. 7 나로호(KSLV-I) 상단(1단) 로켓 최종 연소시험
2009. 8 2단형 우주발사체(1단 액체로켓, 2단 고체로켓) 나로호(KSLV-I) 총조립
2009. 8 나로호(KSLV-I) 1차 발사 실패(페어링 비정상 분리)
2010. 6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B) 발사
2010. 6 나로호(KSLV-I) 2차 발사 실패(소화장치 오작동)
2010.12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6호(KOREASAT-VI, 올레 1호) 발사
2011.12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수립
2012.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KOMPSAT-III)·5호(KOMPSAT-V)
2012.10 한·미 미사일 협정 2차 개정(발사거리 80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2012.10 나로호(KSLV-I) 3차 발사 1차 연기(헬륨가스 주입 중 연결부위 결함)
2012.11 나로호(KSLV-I) 3차 발사 2차 연기(우주발사체와 발사대 연결부위 틈에 의한 고무링 파손, 상단(2단) 추력방향제어기에 과도한 전류 발생)
2013. 1 나로호(KSLV-I)·과학기술위성 2호(STSAT-2C, 나로과학위성) 3차 발사 성공으로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
2013.11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 발사
2013.11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수정
내용
2013년 1월 30일 오후 4시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의 나로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인 나로호(KSLV-I, Korea Space Launch Vehicle-I)가 발사되었고 여기에 탑재된 나로과학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는 모든 절차에 성공하면서 우리나라는 세계 11번째 스페이스 클럽(Space Club)이 되었다.


스페이스 클럽이란 다른 나라의 도움없이 자국의 발사장에서 자국의 로켓을 이용하여 자국 기술로 만든 인공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했으며, 그 인공위성이 성공적으로 궤도를 돌면서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개발 선진국을 말한다. 즉 스페이스 클럽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및 우주발사장 3가지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2013년말 기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한 나라는 러시아(1957년), 미국(1958년), 프랑스(1965년), 일본(1970년 2월), 중국(1970년 4월), 영국(1971년), 인도(1980년), 이스라엘(1988년), 이란(2009년), 북한(2012년), 한국(2013년) 등 11개 국가에 불과하다.


(가) 인공위성
인공위성은 용도에 따라 다목적실용위성, 통신해양기상위성, 과학기술위성, 민간 통신위성 및 기타 위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013년말 기준 우리나라는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KOMPSA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1호·2호·3호·5호, 통신해양기상위성인 천리안(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과학기술위성인 우리별(KITSAT, KaIsT SATtlite) 1호·2호·3호/ 과학기술위성(STSAT,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 1호·2A호·2B호·2C호·3호, 민간 통신방송위성 및 기타 위성인 무궁화(KOREASAT, KOREA SATellite) 1호·2호·3호·5호·6호(KT)/ 한별위성(SK텔레콤)/ 라작샛(RazakSAT, ㈜쎄트렉아이)/ 한누리 1호·2호(한국항공대학교)를 발사하였다. 나로호에 탑재된 인공위성은 과학기술위성(STSAT) 2C호이다.


(나) 우주발사체
우주발사체(SLV, Space Launch Vehicle)는 인공위성이나 우주발사장과는 달리 탄도 미사일, 핵탄두 미사일 등 군용 미사일에도 적용되는 과학기술로 국가방위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군용 미사일은 물성 변화가 적은 고체연료를 사용하고, 우주발사체는 액체연료나 고체연료를 사용하며 큰 힘을 내야하는 하단(1단)에는 액체연료, 상단(2단)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주발사체 개발을 군용 미사일 개발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체결된 한·미 미사일 협정(Missile Guideline) 때문에 고체연료를 사용한 우주발사체의 개발이 어려워지자 액체연료를 사용한 우주발사체 개발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2002년에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체 과학로켓 3호(KSR-III, 발사거리 86km) 개발에 성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대포동 1호(발사거리 2,200km) 발사로 인해 우주발사체 독자 개발에서 우주개발 선진국과의 공동 개발로 방향이 바뀌었고, 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2009년 나로호에 사용될 소형위성발사체(KSLV-I) 개발이 완료되었다.


2013년말 기준 우리나라는 고체추진체 과학로켓 1호(KSR-I, Korea Sounding Rocket)·중형 과학로켓 2호(KSR-II) 및 액체추진체 과학로켓 3호(KSR-III)·소형위성발사체(KSLV-I, Korea Space Launch Vehicle)를 개발하였다.


(다) 우주발사장
우리나라는 2009년에 우주발사장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미국(1944), 러시아(1947), 호주(1947), 카자흐스탄(1955), 중국(1958), 파키스탄(1962), 일본(1963), 프랑스/유럽(1968), 인도(1971), 브라질(1982), 이스라엘(1987), 북한 등과 함께 우주발사장을 가진 세계 13번째 국가가 되었다. 나로호 발사에 사용된 우주발사장도 나로우주센터이다.

근거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2차 수정(2000.12, 과학기술부)
참고자료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수정》 관계부처 합동, 2013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관계부처 합동, 2011
《제1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07~2016)》 관계부처 합동, 2007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 과학기술처, 1996
《2006 우주개발백서》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홈페이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홈페이지
항공우주력건설 홈페이지
집필자
이창운(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책임연구원)
최초 주제 집필
2014. 11. 13
최초 주제 수정
2014.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