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산업/중소기업

장기기계공업육성계획(1973)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1973년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에 따른 공업구조 개편론

「기계공업진흥법(법률 제1933호)」

배경
기계공업은 급속한 중화학공업 확대를 지지하는 선도공업일뿐만 아니라 모든 중화학공업의 기초공업이므로 처음부터 중화학공업의 핵심산업으로 강조되었다. 또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에 따른 공업구조 개편론에서 지적했듯이 특히 기계공업은 장래성, 고용, 수출, 부가가치면에서 볼 때 국민경제에 매우 중요하므로 기계공업 육성의 필요성이 계속 강조되었다. 기계공업은 자립경제와 자립국방의 견지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국민적 과제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1973년 「기계공업 기본지침」과 함께 「장기기계공업육성계획」이 만들어졌다.
경과
「기계공업진흥법(법률 제1933호)」이 1967년 3월 30일 제정공포되었다. 
1968년에는 「기계공업진흥법」 6조에 의해 전국 기계공업체 등록이 시작되었고 「재정자금을 주원으로 하는 일반은행의 특수자금취급규정」이 제정되어 기계공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제도금융화하였다. 이와 동시에 동 자금에 의해 판매되는 기계류에 대한 품질보증제도를 실시하여 국산기계 수요창출과 국산화를 촉진하였다. 1969년 「기계공업육성자금융자 취급규정」이 제정되었고 이후 정부는 기계공업육성을 위한 주요한 목표인 전문화, 계열화 체제의 확립을 위해 1971년 농업기계를 효시로 전문화, 계열화 업체를 지정해 왔다. 


1972년 12월 28일 수출진흥확대회의에서 상공부는 1980년까지의 기계공업 각 품목별 수출계획을 발표했다.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는 중화학공업화선언과 함께 효율적인 기계공업의 육성을 위해 기계공업 기본지침을 1973년 발표했고 기계공업진흥회는 상공부의 협조를 얻어 1973년 6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최초로 「기계공업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런 경과 속에서 1973년 9월 17일 기계공업을 장기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장기기계공업육성계획」이 확정발표되었다.
내용

「장기기계공업육성계획」의 목표와 시책, 세부목표 등 주요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가. 목표

1) 국내수요기계류의 자급체제 확립

2) 기계류의 수출증대

3) 생산기술의 향상과 전문화, 계열화 체제의 확립


나. 목표달성을 위한 시책

1) 중점육성업종의 선정-산업연관효과와 기술의 파급효과, 수출 및 수입대체효과 등을 감안하여 선용기계, 자동차, 주단강, 특수강 등 43개 업종을 지정하고 그 중 123개 품목을 선정하여 이에 관련된 322개 업체를 지정하여 중점 육성

2) 기계공업단지의 건설-경남창원에 380만 평의 기계공업단지를 조성하고 968백만 달러를 투입, 104개 공장을 유치

3) 전문화, 계열화의 유도-기계공업 전문화 업체의 지정을 제도화하고 신규공장은 반드시 전문계열화하도록 관계법령 제정 보완

4) 적극적인 수요창출-국산 기계류 의무화 품목의 사전 공고 및 생산업체 사전 지정과 국산기계사용자에 대해 유리한 조건의 금융지원방침 마련

5) 기술개발정책-품질을 높이고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인력의 양성, 자주적 기술개발, 국가계측표준체제 확립, 국가표준규격의 확대, 검사제도의 강화, 기술도입 및 합작투자 등 지원을 도모


다. 구체목표

1) 1981년 기계류 생산목표 52억 달러

2) 1981년 기계류 수출목표 16억 달러

3) 43개 업종 123개 품목에 대한 지정업체 322개 집중 육성

참고자료

국무총리기획조정실,《중화학공업의 오늘과 내일》, 1973.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한국공업화발전에 관한 조사연구, 제1권, 중화학공업발전사》, 1979.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한국공업화발전에 관한 조사연구, 제2권, 중화학공업정책사》, 1979

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 기획단,《한국공업화발전에 관한 조사연구(Ⅲ): 정책결정과정의 이면사》, 1979.

집필자
박영구(부산외국어대학교 상경대학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