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구미국가공업단지조성(1963.3-1994.12.30)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추진경위

◦ `69. 6. 4 공업단지 사업시행자 지정(건설부 고시 제321호)
◦ `71. 5. 20 한국전자공업공단 설립(상공부 허가 제178호)
◦ `73. 8. 25 지방공업 장려지구 지정(건설부 공고 제85호)
◦ `77. 4. 22 제2단지 산업기지개발구역 고시(건설부 고시 제72호)
◦ `79. 5. 21 제3단지 산업기지 개발구역 고시(건설부 고시 제179호)
◦ `82. 10. 29 공업단지 면적 및 용도별 구획 고시(상공부고시 제82-40호)
◦ `95. 9. 1 제3단지 준공 인가(부산지방 국토관리청 공고 제1995-131호)
◦ `96. 11. 25 구미국가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변경고시(통상산업부 고시 제1996-394호)
◦ `97. 3. 7 제4단지 개발계획변경(건설교통부 고시 제1997-69호)
◦ `98. 6. 16 구미국가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변경고시(산업자원부 고시 제1998-50호)
◦ `00. 7. 13 구미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고시(건설교통부 고시 제2000-190호)
◦ `02. 11. 6 구미 외국인기업전용단지 지정고시(산업자원부 고시 제2002-106호)
◦ `04. 12. 27 구미 외국인투자지역 지정고시(경상북도 고시 제2004-395호)
◦ `07. 1. 8 관리기본계획 개정고시(산업자원부 고시 제2006-152호)

근거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33조의 규정
배경
국가공업단지란 국가기간공업 및 첨단과학기술산업 등을 육성하기 위해 「산업입지 및 개발에관한법률 」제6조의 규정에 의해 지정된 공업단지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농업중심으로 국가경제가 운용되어 오다가 1960년대 후반부터 경제성장을 위한 공업입국으로 정책전환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전환에 따라 낙동강변에 대단위 국가공업단지 조성이 추진되면서 구미는 농업중심의 지방 소도읍에서 공업도시로의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1987년 현재 인구 15만명을 수용하는 지방도시로 성장하였다. 구미공업단지는 경제성장을 위한 공업입국정책에 의해 국토의 균형개발과 지방공업단지 조성이라는 기조위에 1969.3부터 낙동강 수계의 풍부한 수자원과 서울·부산을 축으로 하는 편리한 교통수단 그리고 용이한 노동력을 배경으로 대단위 공업단지조성이 추진되었다.
내용

과거 구미는 농업이 산업의 주축이었으나,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최대의 첨단수출산업단지를 보유한 도시로 변모하였다. 1969년 제1단지 개발되기 시작해 1971년 공업단지로 지정된 후 1977년과 1979년에 각각 2단지와 3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했고 1998년 이후 제4단지가 막바지 조성중이다. 


1,2,3,4단지를 포함한 약 2475만 ㎡ 의 산업단지가 있고, 현재 4단지가 디지털전자정보기술단지, 외국인 기업전용단지, 국민임대산업단지로 조성되고 있으므로 구미공단은 앞으로 영남 테크노밸리를 주도하는 첨단공단으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구미공단조성의 방향은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및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전환하고, 기존단지와 제4단지 입주업체간의 전문화, 계열화 유도하고, 환경보존시설 및 기반시설 확충으로 쾌적한 산업환경 조성하는데 있다.


초기는 전자산업과 함께 당시 수출주력 품목이던 섬유의복 관련 기업이 다수를 차지했지만 현재는 전기전자업종이 단지 전체 입주기업(1002개사)의 32%(318개사)를 차지하고 있다. 근무 인력은 현재 7만5000여명으로, 수출실적은 공단 조성 초기에 824만 달러로 시작해 96년 국내 단일 공단으로는 처음 수출 100억 달러를 달성했고 2003년 200억 달러, 2005년 300억 달러를 각각 넘어섰으며 2007년에는 350억 달러를 수출 목표로 하고 있다.

참고자료

최금애,《구미공업단지의 공업입지와 연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9
이석희, <구미국가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한 투자인센티브제도 개편방안>「대구경북개발연구」제6호, 대구경북개발연구원, 2001.12, pp 135-161
대구시 대구은행,《구미공업단지의 조성배경과 그 전망: 전자공업을 중심으로》, 1973
이기용, <구미공단이 경북경제에 미치는 영향>「기업경제」현대경제사회연구원, 1995, pp 99-107박원석, <공간적 분업과 지방노동시장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구미공업단지 섬유․전기전자산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0.02

집필자
박은병(한남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