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국제기상협력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세계기상기구협약」 (1956)
배경
해방 이전부터 존재해오던 조선총독부 기상대는 해방이 된 직후 미 군정청 문교부 산하의 국립중앙관상대로 개칭되었다.1948년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립중앙관상대가 서울로 이전했으며, 1949년에는 국립중앙관상대 직제가 공포되었다. 새로 수립된 한국 정부에서의 기상업무의 발전은 기상학 분야의 세계적 흐름과 발맞추어 가면서 가속화되었다. 1950년 스위스 제네바에서는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창설되었다. 한국은 1953년 3월 제1차 국제기후전문위원회에 참가하는 등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다가, 1956년 2월 15일 마침내 세계기상기구에 세계 68번째 정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이후 한국은 WMO를 통한 국제기상협력은 물론이고 국가간 기상기술협력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내용

한국은 1956년 세계기상기구(WMO)에 가입한 이래 WMO의 규정과 권고에 따라 기상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WMO 가입은 한국의 기상업무가 세계적 기준에 맞추어 발달하는데 기준점을 제공했다.


한국의 전반적인 경제성장 및 기상 분야의 발달에 따라 WMO가 요구하는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역할 분담이 커졌다. 한국 기상청은 WMO에서 주관하는 세계 기상 감시 프로그램(World Weather Watch Program), 세계 기후 프로그램(World Climate Program), 대기 연구 및 환경 프로그램(Atmospheric Research and Environment Program), 응용 기상 프로그램(Applications of Meteorology Program), 기술 협력 프로그램(Technical Cooperation Program) 등 WMO의 주요 프로그램에의 참여 기여도를 높이고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의 운영·검토·개선을 위한 WMO 8개 기술위원회 및 아시아지역협의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기상청은 제12차 아시아지역협의회를 2000년 9월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또한 국가간 기상기술 협력에서 1970년대, 1980년대는 국가간 상호 호혜를 바탕으로 한 협력보다는 WMO, UNDP, UNKRA, 콜롬보 등 국제기구의 외원 자금에 의한 수혜일변도의 협력이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대에 들어서는 국가간 기상기술 협력의 채널이 다양해졌고 활발해졌다. 일본과의 협력 이외에도 중국, 러시아 등 새로 수교를 맺은 국가들, 또 미국, 호주 등과 다양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상기술의 국제적 협력을 통해 한국 기상청은 선진기상기술의 도입을 확대하고, 인접국과의 기상협력체계를 강화하였으며, 최근에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상협력도 추진되고 있다.

참고자료

기상청,《근대기상100년사》기상청, 2004
기상청 홈페이지 (http://www.kma.go.kr/)

집필자
문만용(서울대학교 강사, 과학사)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