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의 기술산업시대를 거치면서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가 새롭게 주목하고 있는 것은 정보화 사회에서의 문화의 역할이다.
문화적 창의성이 사회발전을 주도하며, 개인의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데 문화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문화의 역할과 기능의 변화가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으며 문화의 산업화, 정보화, 세계화는 국민의 문화생활을 활성화 시키고 경제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다.
세계각국이 문화산업을 부가가치 창출의 원동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규모의 급속한 확대에 따라 문화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기업의 글로벌 경쟁체제가 가속화 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망의 확대와 사용자의 확산으로 전자상거래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콘텐츠의 수요증가 역시 문화산업의 글로벌 경쟁체제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등장하게 되었고 한 나라의 문화력, 첨단지식의 보유 및 활용의 수준이 국가 경쟁력의 주된 척도로 인식되는 문화우위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국가의 문화수준을 측정하는 국가문화지수까지 창출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대내외적으로 알리고 또한 우리문화에 대한 애착심을 강화함은 물론 국가 이미지 제고가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수준 향상, 여가시간 증대에 따라 개인과 사회의 중심 가치가 물질적 풍요로부터 정신적 풍요로 변화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문화 창출과 문화향수 기회가 확대되면서 문화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과 욕구의 증가에 대응하여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위한 우리문화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여가생활 증가로 고급 문화콘텐츠의 수요 및 욕구가 확산되면서 점차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문화 및 예술 분야에 대한공공 부문의 역할이 증대되면서 문화진흥을 위한 문화산업진흥 관련 법안이 입안되고〈문예진흥5개년 계획〉및〈문화발전 10개년 계획〉과 같은 문화진흥계획들이 수립되게 되었다.
또한 고급 문화정보를 국가가 주도하여 유통시키는 문화정책과 창조적 경쟁력을 국가정책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주창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들은 문화와 지식을 바탕으로 한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영상산업, 게임산업, 관광산업 등 광범위한 범위에 파급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화산업의 집중적인 육성을 위하여 문화중심조성사업을 통해 문화인프라를 구축하고 문화산업을 한 지역으로 집중하여 육성시킴으로써 그 경제적 효과가 주변지역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업을 계획하게 되었다. 이는 문화산업을 국가적으로 집중 육성하고 지원을 강화하여 국가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실천방법인 것이다.
문화관광부,《2005 문화산업백서》문화관광부, 2005
문화관광부,《문화정보화추진기본계획》문화관광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