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통일

남북정상회담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남북정상회담(南北頂上會談)〉이란 남·북한 정부 최고책임자간의 한반도 통일을 위한 회담을 말한다. 남·북한의 분단사상 최초로 〈남북정상회담〉은 2000년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 간에 개최되었다.

배경

1. 남북정상회담의 개최를 위한 노력
〈남북정상회담〉은 1980년대 들어와서 남·북한 간의 실무적인 대화가 재개되는 가운데 몇 차례 제의되긴 하였으나 양측의 입장 견지로 실질적 진전은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 북한의 김일성(金日成) 주석이 1990년 신년사를 통해〈남북 최고위급회담〉을 제의하였고 남한도〈남북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제의하였다. 


특히 1994년 6월 한반도가 북한 핵문제로 인해 위기상황에 처하면서 이 문제의 타결을 중재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한 J. 카터 전 미국대통령을 통해 김일성 주석이 김영삼(金泳三)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제시하였다. 남한정부가 이 제의를 즉각 수락함으로써 곧바로 양측간 협의를 통해 역사적인〈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이 마련되었으나 1994년 7월 김일성 주석이 갑작스럽게 사망함으로써〈남북정상회담〉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그 후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2월에 취임사에서 “북한이 원한다면 정상회담을 개최할 용의가 있다”고 표명한 이래 기회가 있을 때마다〈남북정상회담〉과 특사교환을 촉구하였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은 2000년 3월 9일에 '베를린선언'을 통해 민간차원에서 진행되어 온 남북협력을 당국차원의 교류협력으로 확대하여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국제사회에 천명하였다.


2. 비공개 특사접촉과 남북정상회담 개최 준비접촉
〈베를린선언〉이 나온 직후 북한은 비공개적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남한 측에 특사접촉을 제의하고 이 접촉에서 〈남북정상회담〉의 개최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해 왔다. 이에 김대중 대통령은 박지원 문화관광부장관을 특사로 임명·파견하였으며, 북한에서는 송호경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이 특사로 나와 비공개접촉이 이루어졌다. 2000년 3월 17일 중국 상하이에서 1차 특사접촉이 이루어졌으며, 3월 23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의 2차 접촉에 이어 4월 8일 3차 접촉에서〈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서〉가 채택되고 4월 10일 서울과 평양에서 그 합의서가 동시에 발표되었다.〈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서〉의 발표 이후 그 합의서에 따른〈남북정상회담〉의 절차문제를 위한 남·북한간의 준비접촉이 판문점에서 2000년 4월 22일부터 5월 18일까지 5차에 걸쳐 개최되었다.

내용

2000년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김대중 대통령 내외분을 비롯한 수행원 130명(공식수행원 11명, 특별수행원 24명, 일반수행원 95명), 기자단 50명이 역사적인〈남북정상회담〉개최를 위해 평양을 방문하였다. 당초 김대중 대통령이 6월 12일 평양을 방문하기로 하였으나 북한측이 6월 10일 "기술적인 준비관계로 불가피하게 하루 늦춰 김대중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토록 변경해 줄 것"을 요청해 옴에 따라 일정이 전체적으로 하루 늦추어졌다.


가. 1차 정상회의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6월 13일 11:45∼12:12간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에서 상견례를 겸한 1차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민족의 화해와 협력을 도모해 나가기로 합의하였다.


나. 2차 정상회의
정상은 6월 14일 15:00∼17:20간 백화원 영빈관에서 2차 정상회의를 갖고 남북간 화해와 통일문제, 이산가족문제, 경제·사회·문화 등 여러분야의 교류협력문제,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당국간 대화개최 등 남북관계 개선방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였다.


다. 3차 정상회의
두 정상은 6월 14일 18:05∼18:50간 3차 정상회의를 진행하여 〈남북공동선언문〉안의 골격에 대해 합의하였으며, 이후 양측 관계자간 문안을 다듬는 작업을 거쳐 23:20 갖고 〈남북공동선언〉에 합의하였다.

참고자료

정진상,〈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국내외에 미칠 영향〉《통일전략》 (제2권 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2

허태회·윤황,〈제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필요성과 과제〉《서울평양학회보》(제3집 2호) 서울평양학회, 2004

북한문제연구소,《국민의 정부 대북포용정책》, 2001

집필자
윤황(국립경찰대학교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