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외교

한국-헝가리 수교(1989.1.1)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6공화국 노태우 정부는 88서울올림픽이 열리기 약 2개월 전에 발표한 7.7선언은 서울올림픽을 동서(東西)의 거의 모든 국가들을 참여케 하는 전인류의 스포츠 제전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그 후에 전개된 동서냉전의 종식 등 세계적인 화해시대의 개막을 선도했다. 7.7선언은 6공화국의 북방정책의 외교기조, 즉 △ 중소(中蘇)를 비롯한 전통적인 친북한 사회주의 국가와의 관계 정상화, △ 북한이 개혁 개방 정책을 통하여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이 되도록 유도함, △ 북방 사회주의 제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하여 한국외교를 전방위 외교로 광역화, △ 사회주의 국가와의 통상, 경제교류를 통하여 경제적 실익을 도모함이라는 기조를 실천하게 했다.


7.7선언에서의 북한정책 기조 천명, 노태우 대통령의 유엔연설(1988.10.18)은 ‘신사고’ 외교안보 정책을 추진한 구소련 고르바초프의 크라스노야르스크 연설(88.9)은 한국의 북한외교 추진에 유리한 환경에 힘입어 한국은 1989년 2월 1일에 북방 사회주의 국가와는 처음으로 국교를 수립하게 이른다.

내용

노태우 대통령은 북방외교의 구체적인 가시적 노력의 일환으로 헝가리와의 관계정상화를 통해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동서화해에 기여하려는 결단과 의지의 표명으로 헝가리와의 수교를 적극 추진하도록 지시하였다. 헝가리 지도자들도 개혁-개방정책의 일환으로 대외관계에 있어 전향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외교정책을 추진하였던 바, 그 동안 한국이 이룩한 경제발전을 인식하고 대 한반도 정책에 있어 실용주의적 입장을 보였다.


한국과 헝가리 양국은 1988년 8월 26일 상주대표부 교환설치에 합의하고 1988년 10월 25일 및 27일에 부다페스트와 서울에 각각 상주대표부를 개설하여 양국간 협력관계를 진전시켜 왔다. 그 후 최호중 외무부장관이 방한한 호른 졸라 헝가리 외무담당 국무비서와 양국간의 상주대표부를 상주대사관으로 격상시키기로 합의, 수교의정서에 서명(1989.2.1)함으로써 한국과 헝가리 양국은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정부수립 41년만에 사회주의 국가와 최초로 외교관계를 수립한 우리정부는 북방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정상화에 교두보를 마련하는 한편, 노태우 대통령의 헝가리 방문, 곤츠 헝가리 대통령의 한국방문으로 이어지며 관계가 증진되었다. 아울러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는 폴란드, 유고슬라비아,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로 이어진 한국의 동구 사회주의 국가와의 수교를 견인시켰다.


수교 이후 노태우 대통령은 한국의 국가원수로서는 처음으로 1989년 11월 22일-24일에 헝가리를 방문하였다. 헝가리로서도 1989년 10월 23일 새로운 공화국이 출범한 직 후 최초의 외국 국가원수로서 노태우 대통령을 맞았다. 노태우 대통령은 헝가리 국회연설을 통해, 우리의 북방외교가 북한의 고립화가 아니라 북한의 개방화를 돕는 한편, 북한과 함께 화해와 통일의 길을 열어나는 데 그 목적이 있음을 밝혔다. 방문기간 중 노태우 대통령은 헝가리의 정치지도자들과 만나 한국과 헝가리가 동서냉전의 벽을 허무는 시대적인 변화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양국관계를 ‘화해의 새 시대를 함께 여는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동서 세계의 가장 모범적인 관계로 발전시킨다는 데 합의하였다. 또한 헝가리측은 한국의 북방정책에 지지와 이에 대한 협력의사를 표명하였다.


한국과 헝가리간의 수교, 노태우 대통령의 헝가리 방문과 함께 양국은 관계강화를 위해 제반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되어 나갔고 통상과 경제협력, 문화적 협력관계가 증진되어나갔다. 양국은 투자보장협정 및 경제협력협정, 문화협정, 외교관 및 사증면제협정, 이중과세방지협정, 항공협정 및 일반사증면제협정을 체결함과 동시에 양국간 경제공위원회와 정책협의회를 구성, 운영하게 되었으며 양국의 통상 및 경제협력과 더불어 국영방송사간 협력합의서 서명, 양국 문화협화간의 문화교류합의서 서명, 대학간의 교류 등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참고자료

공보처,《제6공화국실록 ②》공보처, 1992
공보처,《자료 제6공화국》공보처, 1992
하용출 외,《북방정책: 기원, 전개, 영향》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집필자
성신여대 산학협력단(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