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외교

박정희시기 한일경제협력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박정희 시대 본격적인 한일 양국간 경제협력은 1965년 「경제협력 및 청구권 협정」의 체결을 계기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 협정에서 일본은 무상 3억불, 유상 2억불, 상업차관 3억불을 한국에 제공하기로 약속함에 따라 본격적인 일본으로부터의 개발자금이 한국에 유입되게 되었다. 일본이 제공하기로 한 무상, 유상자금은 기본적으로 현금의 형태가 아닌 역무와 자본재, 중간재의 형태였으며 정부개발원조의 형식으로 집행되었다. 


이 자금은 박정희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이 성공적으로 실현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평가된다. 이점은 동남아 제국이 일본으로부터 전후배상으로 많은 경제 원조를 제공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화, 경제개발로 연결시키지 못한 점과 대조를 이룬다고 하겠다. 
배경
일본자본이 박정희 정권의 경제개발계획에 미친 영향은 지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제1차 경제개발계획〉(1962∼1966)에 한국정부는 외국자본 6억 3천불을 필요로 했는데 이 중 일본자본의 기여도는 29%에 달했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일본정부의 ODA차관은 약 1억불이 지불되었다. 〈제2차 경제개발계획〉(1967∼1971) 기간 중 한국정부는 2억9천만 불의 외자를 필요로 했는데 이 중 19.3%의 자본을 일본이 담당하였다. 


동 기간 중 일본으로부터 5억5천만 불의 ODA 차관이 도입되었다. 〈제3차 경제개발계획〉(1972∼1976) 기간 중 한국이 필요로 했던 외국자본의 30%를 일본이 담당했으며 이 기간 중 일본의 ODA 차관은 약 7억불이 제공되었다. 1970년대 중반이후 한국정부는 일본경제발전 과정의 형태를 모방하여 몇몇 산업에 집중적으로 자본을 투자하면서 종합상사를 지원 육성하였다. 또한 중화학 공업의 발전을 위한 지본투자를 집중적으로 행하였다.
내용
한국으로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자본에 대한 의존을 더욱 심화시키게 되었다.1966년부터 1980년까지 일본정부의 대한 차관총액은 14억불에 달하게 되었고 이 기간 동안 상업차관은 25억불에 육박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일본자본의 양적 확대에 따른 대일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었으며 일본정부의 ODA가 한국에 대한 경제적 기여도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자금제공이 일본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봉사하였다는 비판이 한편에서 제기되었다. 이 기간 중 한일 간 무역도 획기적으로 증대되었다. 


1965년 일본과의 무역총액이 1억8천만 불에 불과했으나 불과 15년 동안 35배의 성장을 보여 1979년에는 65억불의 무역액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기간 중 한국의 대일 무역역조는 심각하게 확대 재생산되어 나갔다. 한편 일본의 대한투자 또한 획기적으로 확대되어 나갔다. 1965년 120만불이던 일본의 대한 직접투자는 1978년 시점에 이르면 5억2천만 불로 늘게 되었으며 외국의 총투자 중 차지하는 비율도 60%에 달하게 되었다. 


이처럼 1965년 「한·일협정」체결 이래 일본과의 경제관계는 급속도로 팽창해갔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의 경제는 놀라운 양적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한국경제의 대일 의존성이 급속도로 심화되어 여러 가지 부작용을 동시에 안게 되었다는 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참고자료
이재오,《한일관계사의 인식》학민사, 1987
이상우,《제3공화국 외교비사》조선일보사, 1985
대한민국정부,《한일회담 백서》, 1974
경제기획원 편,《대일청구권 자금 백서》, 1976
집필자
성신여대 산학협력단(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