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외교

KAL기 납북사건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원인
1960년대 북한의 대남모험주의 노선으로 남북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었다. 북한은 한국의 박정희 정권이 경제개발정책으로 산업화에 성공하고,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로 한국, 일본, 미국의 3각 협력체제가 강화되자 일말의 불안감을 갖게 되었다. 1960년대 동남아에서 베트남전쟁이 격화되는 것도 김일성을 자극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960년대 후반 푸에블로호 사건, 미정찰기 격추사건,청와대 습격사건 등으로 대남, 대미 도발을 감행했다. 


1969년 12월에 발생한 북한의 대한항공 납치사건도 이러한 북한의 남한사회 흔들기의 일환이었다. 북한은 고정간첩을 통해 대한항공을 공중납치하고, 자진월북이라고 정치선전을 늘어 놓았다. 한국 정부는 국제 접십자 조직 등을 통해 승객·승무원의 무사귀환을 위해 노력했다. 북한은 결국 조종사 등 일부를 억류한 채 37명만을 귀환시켰다.
내용
1969년 12월 11일 대한항공(KAL) 여객기가 대관령 상공에서 고정간첩 조창희에 의해 북한으로 공중납치되었다. 12일 북한은 동 사건을 자진입북이라고 보도하였다. 이어 북한은 24일 조종사환영 시민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사건은 1958년 2월 16일 민간항공기 창랑호 납치에 이은 두번째 항공기 납치사건이었다.


KAL기 납북사건이 발생하자 한국 정부는 미국 등 우방과 국제적십자사 등 국제기구를 통해 납북된 KAL기의 인원과 기체의 조속한 송환을 위해 노력하였다. 박정희 정부는 이 사건을 휴전 위반과 인도주의 차원에서 접근하면서,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 회의와 국제적십자위원회(ICRC) 및 각국 적십자사의 채널을 통해 승객·승무원의 무사 귀환을 위해 애썼다. KAL기 납북 후 북한이 제의한 남북한 5개단체 회의에 대해서는 정치적 대가를 받고자 하는 기도라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1970년 2월 2일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회의에서 북한이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자, UNC측이 먼저 남북 양측 적십자사 대표로 하여금 KAL기 승무원·승객 및 화물을 인계·인수토록 하자고 제의하였다. 북한은 여하한 UNC의 제의도 전격적으로 거부하고, KAL기 송환은 미국의 간섭·방해 때문에 이루지 못하고 있다면서, 민간 대표 사이의 교섭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고 자신들의 입장을 밝혔다.


1970년 2월 3일 북한 적십자사는 제네바에 있는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 장문의 전문을 보냈다. 이 전문에서 북한은 남한의 민간단체 대표가 판문점에 올 수 없는 상황에서 승객 희망에 따라 조속히 돌려보내기 위해 북한 당국이 일방적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혔다. 북한은 납치 55일만에 승객 송환을 통보하고, 1970년 2월 14일 조종사 등 12명을 억류한 채 37명만을 송환하였다.
참고자료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편,《한미관계 1882∼1982》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집필자
성신여대 산학협력단(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