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농림해양수산

천리포 수목원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산림법」
내용

본 수목원의 효시는 천리포 해변의 절벽에 위치한 약 2ha의 사질 토양의 임야 및 잡종지를 1962년도에 천리포 수목원의 설립자인 민병갈(Carl Ferris Miller, 79년도 귀화)씨가 구입하면서 비롯되었다. 


고 민병갈 전 이사장은 1921년 12월 24일에 미국 동부 펜실베니아주의 West Pittston에서 태어났다. 콜로라도의 대학에서 일본어를 부전공한 그는 졸업 후 2차대전 당시 미 해군 통역장교로 근무하였다. 일본 오키나와에서한국해방 직후 한국으로 파견되어 1945년 9월 8일 한국에 첫 발을 딛은 그는 그 후 한국에 매료되면서 한국에 정착하였다. 그 당시를 회상하면서 그는 전후 한국의 어렵고 힘든 생활환경에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한국적인 모든 것을 좋아하게 된 것으로 보아서 본인이 전생에 한국인이었을 것이라고 자처한다. 1946년 9월에 제대한 그는 1947년 2월 민간인으로 미 군정청 법무부에 지원하여 한국에 돌아왔다. 


그 후 1952년부터 1982년 3월 정년퇴직할 때까지 30년 동안 한국은행에 근무하면서 한국의 경제와 금융계에 정통한 그는 한국의 경제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한국에 대한 끊임없는 애정은 결국 1979년 민병갈이라는 이름으로 한국국적을 취득케 하였다. 그는 항상 타국인이 아닌 한국인으로 한국에서 살다 생을 마감하기를 원해 왔으며 그의 이 나라와 한국민에 대한 애정은 결코동요한 적이 없었다.


화학을 전공하고 금융업에서 일해온 그에게 수목원 조성사업은 하나의 새로운 모험이었다. 식물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은 그가 사랑하는 한국의 산야를 두루 돌아보면서 싹터왔다. 자연의 세계에 심취하면서 그에 관한 지식에 목말라 하던 그에게 임업연구원의 고 조무연씨나 전 서울대 교수이자 대한식물도감의 저자인 이창복 박사와의 만남은 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그의 집념의 결실이 천리포수목원인 것이다. 


1950년대 그의 가장 즐거웠던 시간은 한국의 각처에 있는 사찰들을 방문하기 위하여 산을 오르는 것이었다. 지금은 도로가 잘 닦여 쉽게 가까이 갈 수 있으나 그 당시 사찰들은 대부분 인적이 드문 높은 산에 자리잡고 있어 찾아 가기는 어려우나 식생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사찰에서 잘 보호해왔던 관계로 다른 어느 지역 보다도 훌륭한 산림을 접할 수 있었던 까닭이었다. 게다가 스님들은 그 주변의 식생에 관하여 비교적 소상히 알고 있었으며 그에게 식물에 관한 깊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천리포 수목원은 1979년에 산림청 산하 비영리재단법인으로 인가를 받았다. 지리적으로는 서울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180km떨어진 태안반도 북단 부근인 만리포 해수욕장에 인접한 북위 36도 46분 동경 126도 8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0년부터 부지의 연차적인 확보와 함께 현지에 적응이 가능한 식물들을 국내 및 유사한 기후권의 여러 나라에서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왔다. 


현재 수목원의 관할 부지는 크게 7개 지역으로 나뉘어 진다. 이와 같이 토지가 한 곳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것은 관리상, 작업상 매우 불편한 약점을 가지고 있으나 반면 여러 가지의 토질, 기후, 기존식물상을 한 개의 수목원이 보유할 수 있다는 장점도 될 수 있다. 


현재 공익법인인 천리포수목원의 조직은 이사회와 행정 및 연구분야로 나뉘어지고, 이사회는 이사장 이하 8인의 이사와 2인의 감사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행정직 3인, 연구직 2인을 포함해 총 17인의 직원들은 식물팀, 교육팀, 관리팀, 총무팀, 자원식물연구소로 나뉘어 각각 그 부서에 준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수목원으로, 특히 목련과(Magnoliaceae)에 대해서는 세계적인 수집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참고자료

천리포 수목원 홈페이지 (http://www.chollipo.org)

집필자
김세빈(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