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부터 정부수립 직후까지 생산된 토지 임야대장, 지적ㆍ임야원도 등 지적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발행한 관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국무회의록, 차관회의록, 안건철 등 국무회의 기록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간행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된 판결문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3.1운동 피살자,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학교, 형무소, 병원, 지방청사 등의 설계원도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생산된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표시된 항목은 필수 사항입니다.
※간행물 신청은 용역 수행 기관이 아닌 기관 담당자(공무원)가 직접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기 신청 간행물(연속간행물)의 경우 변경신청 해주시길 바랍니다
※간행물을 발행하는 기관명을 기입하세요. (50자 이내)
※용역수행 보고서인 경우, 발주기관이 발행기관 입니다. 예)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간행물을 발행하는 기관의 주관부서를 조직도 상의 행정조직까지 포함하여 기입하세요.(100자 이내) 예) 조직실 제도정책관 제도총괄과, 문화재정책국 안전기준과
※간행물 표지에 실제로 인쇄되는 간행물제목을 기입하세요(250자 이내) 예) 정부기구도표, 기록보존
※간행물을 발행하는 빈도를 선택하세요. 예) 단행본, 일간, 주간, 격주간, 순간, 월간, 격월간, 계간, 반 년간, 연간, 격년 간, 3년간, 4년간, 5년간, 부정기
※간행물의 발간용도를 간단하게 기입하세요(250자 이내) 예) 교육용, 업무참고용, 회의용, 용역보고서
※크기는 단위(㎝)를 잘 확인하여 기입하시고, 소수점은 올림하여 적어 주십시오. 예) 21.6㎝ × 28.3㎝ 는 22㎝ × 29㎝
※국가기록원은 공공기관이 생산한 간행물의 안전한 보존과 기록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보존 및 인터넷 열람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각급 저작기관(자)으로부터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받아야 하므로, 귀 기관의 저작물을 국가기록원에서 복제하여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협력하여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국가기록원은 수집된 간행물을 대상으로 일반인에게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공개제한사유에 해당되는 간행물은 비공개 사유(100자 이내)와 비공개 기간을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수정시 필요합니다.
※신청자의 소속기관명을 입력하세요.(50자 이내) 예)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용역보고서의 경우, 발주한 기관명 기입
※신청자의 소속부서를 조직도 상의 행정조직까지 포함하여 기입하세요.(100자 이내) 예) 조직실 제도정책관 제도총괄과, 문화재정책국 안전기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