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농림해양수산

산불방지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산림녹화가 성공하여 산림자원이 풍성해지면서 우리나라의 산불이 대형화하고 피해가 막대하게 나타나고 있다. 산불은 발생 후의 진화보다는 예방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산불의 발생원인이 입산하는 등산객이나 성묘객의 실화에 의한 것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입산자들에 대한 예방적인 홍보가 중요하다. 따라서 대형헬기 등 진화용 장비의 구입도 중요하지만 예방에 관련된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불종합훈련 동해안산불피해지

내용

제1차 치산녹화기(1973∼1978)에는 산불 감시시설인 감시탑과 감시초소를 읍당 1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하였고, 지상진화장비로는 UNDP전문가로 와 있던 미국인이 한국에서 사용가능하다고 추천한 불갈퀴, 불털이개 등을 도입하여 보급하였다.제2차 치산녹화기(1979∼1988)에는 주민동원체제에 의한 진화대를 조직하고, 국유림 100ha, 사유림 100ha 씩 매년 200ha의 방화선을 신설하였다. 

 
기상의 변화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불 경보제를 운영하였다. 

 
표) 산불경보제 운영

구분

경보발령요건

조치내용

산불위험경보

실효습도 40%이하
풍속 5m 이상/초
직원 1/2이상 24시간 근무
입산금지 및 전 등산로 폐쇄
화기물 휴대금지
논, 밭두렁 및 농산폐기물 소각금지

산불위험주의보

실효습도 41-60%
풍속5m 미만/초
직원 1/3이상 24시간 근무
부분적 입산통제(주요 등산로만 활용)
화기물 반입통제

산불주의보

실효습도 60%이상
풍속 3m 미만/초
정상근무
등산로 개방
입산시 도시락 지참 권장

산지자원화기(1989∼1998)에는 공익근무요원을 배치하여 산불감시에 투입하고, 산불방지종합대책을 수립하였으며 헬기 등 공중진화 장비를 보강하였다.


2005년도에는 산불진화용 항공기를 3대 추가로 구입하고 2009년도까지 60대를 보유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산불방지대책으로 크게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보면,
1. 예방 및 홍보대책으로는 다양한 홍보활동 전개, 지상과 공중의 입체적 산불감시·계도활동, 산불원인별 합리적인 예방활동으로 산불요인 제거활동을 하고 있다.


2. 사전대비대책에는 숲의 구조를 산불에 강한 산림으로 육성, 산불발생 원인 사전차단,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 및 공조체제 구축, 산불방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협정제도 활성화 및 산불방지 국제정보 교류를 활성화한다.


3. 진화역량 강화대책에는헬기정비 및 운영 개선으로 운항의 효율성 제고, 현장대책본부 설치에 의한 강력한 대응체계 구축, 지상진화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반복실시가 있다.


4. 산불조기감지 시스템 운영 상황에는 산불위험예보시스템 운영, 산불경보발령,무인감시카메라 운용요원 지정으로 조기 발견체계 구축, 산불 취약지 및 입산요로의 감시탑·감시초소에 감시인력 고정 배치,산림항공기 및 유관기관 협조를 통한 공중감시체제를 구축한다.



산불경보조치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발령한다.

경 보 별

조 치 사 항

산불경계 경 보

o 시·군, 관리소 ,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의 1/6이상을 취약지 배치 혹은 비상대기
o 공익근무요원의1/3이상을 취약지 배치 혹은 비상대기 조치
o 입산통제구역을 산림면적의 30% 이상 지정·통제
o 관리대상 등산로의 50%이상 폐쇄

산불위험 경 보

o 시·군, 관리소 ,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의 1/4 이상을 취약지 배치 혹은 비상대기
o 공익근무요원의1/2 이상을 취약지 배치 혹은 비상대기 조치
o 입산통제구역을 산림면적의 50% 이상 지정·통제
o 관리대상 등산로의 80% 이상 폐쇄

그리고 대형산불이 빈발하는 동해안 지역에 ‘동해안 산불관리센타’를 2006년에 설립하였다.
참고자료

산림청,《한국임정 50년사》, 1997
산림청,《산림청 국정감사자료》, 2005

집필자
김세빈(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