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영역
참조코드 | BG216/S21 |
---|---|
제목 | 환경보호관리 |
생산시기 | 1993~1994 |
유형별 수량 | 공문서 7권 |
現기술계층 | 기록물계열 |
상위기술계층 | 전라북도 진안군 기록물군 |
하위기술계층 |
배경영역
생산기관 | 전라북도 진안군 |
---|---|
행정연혁 | 일제시대 1914년 3월 1일에 오늘날의 진안군이 되었다. 연혁보기 |
수집이관기관 | 전라북도 연혁보기 |
수집이관방법 | 이관 |
내용과 구조영역
범위와 내용 | 환경보호관리 기록물계열은 환경보호 관련 제도 운영 및 관리, 기반시설 및 인력 관리, 환경재난 관리, 환경보전 지역 관리, 자연환경보호 등 환경보전 업무와 소음진동, 비산먼지 및 악취관리, 생활환경 관리, 공단환경관리 등 환경관리 업무에 관한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기록물은 <배출시설설치허가>이다. |
---|---|
색인어/기능어 |
|
접근과 이용환경영역
접근환경 |
인허가 기록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 제1항 제6호에 의해 개인식별정보 및 개인증빙기록을 제외하고 부분공개한다. (* 일부 기록물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각호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 |
---|---|
이용환경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업무상 작성하여 공표한 저작물(저작권법 제24조의 2, 제36조)은 허락 없이 이용·번역·개작 가능하며, 영리적(상업적) 목적(공공데이터법 제3조)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저작물 이용 시 반드시 출처를 명시해야 한다. 다만, 저작물이 '국가안전보장 관련 정보, 개인 또는 민간에 저작권이 있는 경우, 개인의 사생활(초상권 침해여부 포함) 또는 사업상 비밀, 다른 법률에 따라 공개가 제한된 정보, 한국저작권위원회에 등록된 저작물(저작권법 제112조)로서 국유재산(국유재산법) 또는 공유재산(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으로 관리 되는 경우' 등은 허락 없이 이용할 수 없다. |
언어 | 한국어 |
관련자료
원본의 존재와 위치 | 대전서고 (본 계열의 기록물 중 일부 정리 중인 기록물은 서고위치가 다를 수 있음) |
---|---|
관련기록 | |
출판정보 | 대기환경보전. 국가기록원 국가기록포털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3863]. 자연환경보전. 국가기록원 국가기록포털 [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38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