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교육

국제이해 교육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유네스코 활동에 관한 법률(2008. 2. 29., 법률 제8852) 

배경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냉전체제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국제연합은 국가간의 분쟁을 약화시키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특히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1953년 유네스코 제7차 총회에서 국제이해 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위한 협동학교 계획(Associated Schools Project)를 추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80년대부터 국제사회와의 교류협력이 확대되고, 시장개방과 정보화 체제가 구축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국제이해 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내용

국제이해 교육은 크게 두 영역을 포괄한다. 첫째는 타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상호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교육이고, 둘째는 환경인구전쟁기아 등과 같은 세계 전체의 관심사 대한 이해와 대응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문화 간 교육, 다문화 교육이나 국제평화, 국제협력, 국제인권 등과 같은 초국가적 이념 교육은 전자에 해당되고, 인구, 환경, 전쟁, 기아, 자원 등의 인류 공동의 문제해결 교육은 후자에 속한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국제교육 정책도 이러한 영역을 포괄하면서 추진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활동, 교과교육 제시, 외국어 교육을 활용한 교육 등을 통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우선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는 1961년부터 협동학교 계획(Associated Schools Project)을 추진한 이후 1970년대 중반부터 협동학교 교육의 폭과 내용을 크게 확충하여, 인권, 자유, 국제평화 등을 새롭게 강조하였다. 1980년대부터 올림픽이나 국제회의 개최 등으로 국제사회에 한국을 소개하는 노력이 새롭게 부각되었고, 1990년대에 개방화와 정보화가 확산되면서 교육과학기술부는 1995년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를 국제이해교육센터로 지정하여 국제이해 교육정보 서비스, 국제이해 교육의 연구, 개발, 보급, 국제이해 교육연수 등을 담당하게 되었다.

주요사업으로는 교육, 자연과학, 인문사회과학, 문화, 정보커뮤니케이션 등 유네스코 주요 사업에 대한 정책연구 및 한국의 참여 촉진에 중점을 두는 정책사업, 청소년.학생 활동과 관련 단체 및 네트워크 협력에 중점을 두는 협력사업, 유네스코평화센터 활용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고, 그 밖에 유네스코 회원국 간 교류 및 협력, 유네스코 협회 등 국민의 유네스코 활동 협력, Korea Jounal 등 간행물 보급 활동, 서울시 위탁시설인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MIZY)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교과교육에서는 사회, 세계사, 지리, 국민윤리, 도덕 및 외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국제화 시대에 세계 시민으로서의 기본 소양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다문화사회로 변화해가는 추세를 반영하여 다문화적 관점을 강조하는 내용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

마지막으로 외국어 교육을 통한 교육은 외국어의 학습 자체가 해당 국가의 언어는 물론 사회역사문화에 대한 이해를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국제이해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해방 이후 영어는 가장 중요한 외국어로 인식되어 왔으며, 1990년대 이후부터 국제화 및 시장 개방의 추세와 함께 영어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1997년부터 초등학교에서도 영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질적인 변화를 겪게 되었다. 영어 이외에도 제2외국어로서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어어 등이 교육되어 왔으며, 특히 아시아 협력이 강화되면서 중국어와 일본어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국제이해교육은 각 시기마다 국제적 상황과 국내의 필요에 따라 관심의 폭과 정도가 계속 변화해 왔고, 2000년대 이후 세계화정보화의 추세가 가속되면서 더욱 확대되는 과정에 있다.

참고자료

교육50년사편찬위원회, 교육50년사 1948-1998, 교육부, 1998.

국회법률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law/jsp)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http://www.unesco.or.kr/)

집필자
최광만(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8. 09. 03
최초 주제 수정
2008. 09.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