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영화산업정책
주제유형 | ![]() |
---|---|
하위주제 | 디지털영상아카이브설립 스크린쿼터폐지 영상물등급위원회 영상산업진흥계획수립 영화수입문호개방 영화진흥위원회 일본대중문화개방 첨단문화산업단지조성 |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배경
영화는 모든 장르의 예술이 결집된 종합 예술로서 한 나라의 총체적 문화역량을 나타내는 핵심 콘텐츠산업이며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다. 영화산업의 육성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한국영화의 바람직한 영화정책 기본방향은 영화가 가지는 문화적 가치의 확산과 영화산업의 경쟁력 확보라는 양면의 균형적 발전을 이루는 것이다. 정부는 영화산업과 영상문화의 조화로운 발전 및 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화산업 주도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5대 중점추진과제를 설정하였다.
내용
2004년 한국영화는 메이저급 영화사가 제작한 상업영화가 100여편 이상 제작되었고, 한국영화시장점유율은 50%에 달하였으며, 총 관객 8,399만 명으로 1인당 1.72회 관람을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영화 해외수출이 5천만 달러로 5년 전인 1999년과 비교하여1,670%의 놀라운 성장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발전을 반영하듯 한국영화 방송 편성 비율이 채널당 주1편으로 정착되었고, 방송사도 영화제작에 참여하는 등 한국영화의 전성기라 할 만큼 급성장을 하였다. 이러한 발전을 반영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5대 중점 추진 과제를 선정하고 영상영화산업정책을 추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과 국제 협력 강화를 위하여 영화 사후지원에서 사전지원 체제로 전환하며, 영화 자막번역 및 프린트 제작을 지원과 국제영화제 출품 및 참가를 지원하였다. 이러한 모든 인프라를 지탱할 수 있는 우수한 영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는 영화아카데미 운영을 개선하고 영화아카데미를 통합운영 및 확대하여 영화인 재교육, 대학 실무교육지원을 확대하였다. 또한 영상영화산업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책연구 및 정보화 사업을 강화하여 영화산업현황 조사 및 분석을 체계화하고 영화정책연구 기능 강화 및 민간 학술연구 지원을 확대하였다.
참고자료
문화체육관광부,《2002 문화산업백서》, 2002
문화체육관광부,《2003 문화산업백서》, 2003
문화체육관광부,《2003 문화산업백서》, 2003
집필자
류정아(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