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문화체육관광

문화정보화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21세기 지식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문화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등장하면서 한 국가의 문화력과 첨단지식의 보유 및 활용 수준이 국가 경쟁력의 주된 척도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인터넷을 통해 국내외에 알림으로써 국가 이미지 제고가 필수적인 사항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소득수준 향상, 여가시간 증대에 따라 개인과 사회의 중심 가치가 물질적 풍요로부터 정신적 풍요로 변화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문화 창출과 문화향수 기회가 확대 되면서 문화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과 욕구의 증가에 대응하여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위한 우리문화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대국민 문화향수 및 문화교육 확대를 위한 지식정보 콘텐츠 이용채널이 대폭 확대되게 되었다. 또한 국민소득 향상 및 주 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여가생활 증가로 고급 문화콘텐츠의 수요 및 욕구 확산이 이루지게 되었다. 


세계적으로는 고급 문화정보를 국가가 주도하여 유통시키는 문화정책과 창조적 경쟁력을 국가정책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주창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양질의 공공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 집적시키는 것이 국가의 공공서비스 역할로 확대되게 됨으로써 문화정보화는 더욱 가속화 되게 된다. 


2006년을 전후해 국가별 대국민 문화정보서비스 체계가 완성되면 서비스의 품질에 따라 국민의 문화역량 수준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문화 콘텐츠의 정보화는 영상산업, 게임산업, 관광산업 등 관련산업에 광범위한 파급효과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문화 정보화는 문화예술 정보서비스 기반 구축, 전통문화 계승·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정보화 추진, 출판유통 및 영상자료의 정보화를 통한 문화산업 정보화 기반 마련,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통한 삶의 질 향상, 지식문화사회 구현을 위한 인프라 조성사업 등을 추진하게 되었다.

내용

1. 문화예술 정보 서비스 기반 구축사업
1998년부터 정보화근로사업 및 지식정보화사업 등으로 공공부문의 문화예술 지식정보 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디지털화를 추진하여 공연, 전시, 문화정책, 영상정보 등 주요 문화예술 기관·단체 보유자료 140만 건(약 62%)를 디지털화 하였다. 그리고지식정보 DB 확충 및 연계활용체제구축 계획(1999~2002, 정통부)에 의거 국가지식정보자원 중 문화예술 분야가 5대 전략분야로 지정하고,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을 종합정보센터로 지정하였다. 문화예술종합정보시스템구축 사업(2000.5~2002.7)을 통해 44개 문화예술 기관·단체를 네트워크로 연계, 문화예술정보의 종합적인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문화예술정보화전략계획수립(2001.9~2002.2)을 통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장기적인 계획하에 문화예술정보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2. 전통문화 계승·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정보화 추진
국가문화유산 정보의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해 2000년부터 국가문화유산 구축사업을 추진하여, 문화재청, 국립박물관, 공·사립박물관 대학박물관 등 41개 주요 박물관의 문화유산 DB를 구축 하였으며 테마별·지역별·시대별 문화유산 정보를 근간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보유기관별로 상이한 정보체계를 통합하여 전국 문화유산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문화유산 정보화 사업을 통해 정보화 발전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지식 DB의 지속적인 구축을 통해 관련 기관의 업무 역량 강화 및 대국민을 위한 고품질의 다양화된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정보화 기반 구축과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하였다.


3. 출판유통 및 영상자료의 정보화를 통한 문화산업 정보화 기반 마련
출판산업의 발전과 지식정보화 사회의 중추 인프라로서 출판유통 정보 시스템을 추진하여 지식기반 산업의 근간인 출판유통 정보시스템 구축하였으며, 영상자료의 문화적·역사적 유산화를 위한 디지털화 추진 및 대국민 서비스를 통한 문화향수 욕구를 충족시켰다. 방송영상 진흥을 위한 방송영상정보 웹사이트 구축 및 방송영상물에 대한 콘텐츠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공공 디지털 아카이브 사업을 추진하였다.


4. 문화향수 기회 확대를 통한 삶의 질 향상
관광정보의 체계적인 정보화 수립을 위해 내·외국인이 필요로 하는 관광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광정보 서비스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전략적 활용을 통한 관광정보의 지식 정보화 기반 구축은 물론 과학적인 체육정보 제공 및 체육문헌정보, 체육용어 사전, 올림픽 문헌정보, 체육시설물 정보 등 국민체육 종합정보 DB 구축, 역대 국가대표선수, 개인별 진료기록, 등록된 선수 및 임원의 통계 자료 관리 엘리트 체육 정보화 추진엘리트 체육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자율적인 참여 기반 확대를 위해 청소년시설 및 단체 등 관련기관의 정보화지원을 통하여 인터넷 홈페이지 운영률을 75.1%까지 증대시켰으며 청소년 자원봉사 지식정보 인프라 구축과 청소년상담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청소년의 권리보장과 자율적인 참여 기반을 마련하였다.또한 공공도서관 연계서비스 정착을 위해 국가자료공동목록시스템 서비스의 확산과 공공도서관 표준자료관리시스템 보급 확대 등을 통해 도서관정보전산망의 대국민 연계서비스를 정착시켰다.


5. 지식문화 사회 구현을 위한 인프라 조성
21세기〈세종계획〉을 중심으로 한 국어정보화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언어정보처리 연구의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저작권정보관리시스템 정보화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유통기반 구축에 기여하였다.

참고자료

문화관광부,《문화 정보화 추진기본계획 (제2차:2002~2006)》문화관광부, 2002

집필자
한범수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