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인사/조직

행정종합정보망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행정전산망사업기본계획〉

배경

행정전산화 사업으로 행정업무가 전산화 되었다 하더라도 전산화된 행정정보를 해당기관에서만 활용한다면 효용가치가 반감될 뿐 아니라 유사한 업무의 중복개발과 정보의 수집·가공·유통 등의 중복투자로 막대한 인력과 예산 및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공공기관 간에 정보를 상호 공동 활용하고 민간기관에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행정정보 공동활용체제 구현을 추진하였다.


행정정보 공동활용체제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중앙전산본부의 인력과 시설을 활용한 행정정보의 공동활용이고 또 하나는 중앙전산본부를 행정정보유통센터로 하는 기관간 업무 DB 공동활용체제 구축이다.

내용

행정종합정보망(NATISNET)은 1993년 6월에 개통되었다. 이의 개통과 기반구축을 위하여 제1단계(1992~1993)에서는 중앙전산본부가 정부내 행정자료 종합관리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행정정보의 유통체계 확립에 중점을 두었다. 행정전산망(통계청, 노동부, 교통부(현 국토해양부)등), 연구전산망(KREONET), 공공기관망(KIS), 민간상용망(POS-SERVE) 등을 상호연계하여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상호 교류토록 하였고, 정부전자계산소가 보유하고 있는 법령정보, 민원행정정보, 국정소식정보, 국가시험정보 등 국민편익과 관련되는 행정정보에 대해서는 대국민정보서비스를 개시했다. 특히 지방의 정부기관과 대국민서비스를 위하여 전국적인 통신망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전력공사의 KIS망과 포스데이타의 POS-SERVE망 등을 접속하여 행정정보유통을 위한 전국적인 서비스기반을 마련하였다.



제2단계(1994~1995)에서는 각종 행정정보의 취합, 가공, 변환 등으로 소재정보 DB, 분야별 정책지원 DB를 구성하여 기관간 DB 교류 및 정부내 부가가치통신망(VAN)서비스를 활성화 했다. 특히 음성정보서비스, PC/FAX 서비스 등 신기술을 도입하여 문자정보 외에 음성 및 이미지 정보 등을 지원하게 하였다.



제3단계(1996)에서는 제2차 행정전산망 7개 우선업무의 연동과 정부내 인적자원정보, 물적자원정보, 통계정보, 도서·문서정보 등 4개 정보군의 기개발업무 70여종, 개발예정업무 30여종 등을 연계한 행정종합정보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민간의 산업·기술정보, 경제분야 정보 등을 망라한 국내·외 정책자료의 종합축적관리 단계로 발전하였다.

참고자료

손형길,〈행정종합정보망(NATISNET)구축〉행정과전산, 1993
정보통신부· 한국전산원,《한국의 정보화정책 발전사》아이윌, 2005

집필자
황성돈(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