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코드 | AG16/S1 |
---|---|
제목 | 행정지원 |
생산시기 | 1978~2006 |
유형별 수량 | |
現기술계층 | 기록물계열 |
상위기술계층 | |
하위기술계층 |
|
생산기관 | |
---|---|
행정연혁 | |
수집이관기관 |
|
수집이관방법 | 이관 |
범위와 내용 | 행정지원 계열은 기관의 기본적 운영과정에서 생산되는 인사, 국회, 재산관리, 법규, 예산, 서무, 홍보 관련 기록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기록으로는 <고용직, 일용잡급 등의 신규임용> 및 <인사발령>, <청원경찰 임용>, <승급대>장, <상훈관계철>, <기여금납입> 및 <연금합산>, <위임전결규정>, <예규 제도 법령관계철>, <국정감사철>, <예산요구철>, <국회의원요구자료 제출>, <국회업무보고자료>, <국유재산대장>, <부산청사시설장비현황>, <부산청사신축현황>, <정부기록보존소 중장기발전계획> 등이 있다. 이 밖에 <기록물관리에 대한 토론회>, <연수회, 학술세미나> 등의 녹음기록과 <정부기록보존소 소개 및 홍보 비디오>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부기록보존소부산지소장인> 등 관인류 36점도 포함되어 있다. |
---|---|
색인어/기능어 |
|
접근환경 | 인사기록 중 인사발령사항은 공개 가능하나, 개인식별정보 및 개인신상정보가 포함된 경우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제6호에 의거 해당정보를 제외하고 공개 가능하다. 기여금 납입 및 연금합산관련 기록은 전체가 개인신상에 관한 정보로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제6호에 의거 비공개된다. 청사, 국유재산 관련 기록, 감사, 국회요구 자료, 법령제개정 관련 기록 등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제6호에 의거 개인식별정보나 개인신상정보를 제외하고 공개 가능하다. 홍보 동영상은 공개되나, 회의, 토론회 등 녹음기록은 30년이 미경과한 기록으로「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제9조제1항각호에 의거 공개가 제한될 수 있다. 폐기된 관인류는 모두 공개 가능하다. |
---|---|
이용환경 |
「저작권법(2011.6.30 개정)」 제39조 ‘보호기간의 원칙’에 의거하여, 공표(생산)된지 70년이 경과하여 저작권 보호기간이 만료된 기록물은 자유로이 활용 가능하나, 인용시 출처를 명시하고 원본의 동일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70년이 미경과한 기록물은 활용이 일부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저작권법 제39조항은 「대한민국과 유럽연합 및 그 회원국간의 자유무역협정」이 발효한 후 2년이 되는 날부터 시행한다.) |
언어 | 한국어 한자 영어 |
원본의 존재와 위치 | 대전서고, 성남서고 (본 계열의 기록물 중 일부 정리 중인 기록물은 서고위치가 다를 수 있음) |
---|---|
관련기록 | |
출판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