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위와 내용 |
수자원정책 계열은 수자원 종합개발계획, 하천해안관리, 특정다목적 댐건설, 방재계획 및 재해복구, 장단기상수도 및 하수도 계획 업무에 관한 사항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을 포함하고 있다. 유형별 기록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문서류에는 주로 춘천댐암반검사, 섬진강댐및춘천댐공사고시, 위암댐공사관계, 춘천댐수몰지구, 남강댐시행승인, 남강댐간접보상관계철, 평화의댐용역관계철, 평화의댐지질조사철, 평화의댐자금관계철, 남강대보상실시설계관계철 등으로 주로 댐 건설공사에 관한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천댐, 위암댐, 섬진강댐, 소양강댐, 용담댐, 남강댐, 안동댐, 의암댐, 충주댐, 팔당댐, 대청댐, 합천댐, 주암댐, 금강댐 공사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섬진강상류조사서, 영산강유역개발지원 및 섬진강유역조사보고서, 낙동강유역조사보고서, 낙동강유역하구조사최종보고서, 공유수면매립면허, 하천공작물설치, 안계상수도사업인가, 춘천시상수도확장사업인가, 삽교천개수공사, 낙동강하구둑실시계획변경 등에 관한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류에는 주로 서울제기천 및 신당천 복개공사 사전승인, 소양강다목적댐 수몰지조사측량보고서, 주암댐타당성조사 조사측량도, 수원시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차집관거 계획도 5권), 발전소 개착도면, 충주댐 수몰지구 임야도(제천), 섬진강 다목적댐건설공사 준공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부간행물에는 주로 <상수도 1985>, <춘천수력발전소 건설지>, <한국하천조사서 1974.12>, <하천공사의 계획과 설계>, <수자원개발조사연보 1980>, <한국수문조사연보 1982>, <한강홍수예경보>, <금강 수계 홍수량 측정 조사 보고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