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코드 | AG17 |
---|---|
제목 | 국가기록원 |
생산시기 | 1544~2021 |
유형별 수량 | 공문서 4,393권 , 사진/필름류 292권 , 녹음/동영상류 51권 , 정부간행물 623권 |
現기술계층 | 기록물군 |
상위기술계층 | |
하위기술계층 |
생산기관 |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
---|---|
행정연혁 |
|
생산기관 |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
행정연혁 |
|
생산기관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
행정연혁 | |
생산기관 |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
행정연혁 |
|
수집이관기관 | |
수집이관방법 | 이관 |
범위와 내용 | 국가기록원은 1962년 5월 내각사무처 총무과 문서촬영실로 시작하여 1969년 8월 총무처 정부기록보존소, 1998년 2월 행정자치부 정부기록보존소, 2004년 5월 국가기록원으로 명칭변경, 2008년 2월 행정안전부로 소속 변경을 거쳤으나, 국가기록물 관리라는 고유 기능은 변함없이 수행되어 왔다. 국가기록원 기록물군은 국가기록원의 고유업무인 기록물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의 수립 및 제도 개선, 공공기록물의 효율적인 수집ㆍ보존ㆍ평가 및 활용에 관한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이 조직의 기능과 기록물 유형에 따라 행정지원, 국제교류협력, 기록관리 제도, 기록물활용, 보존관리, 수집관리, 평가분류, 표준관리, 정부간행물의 총 9개 기록물 계열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지원 계열은 감사, 인사관리, 기획, 회계, 법무, 기록관리, 운영지원의 총7개 공통하위계열로 구성되어 있다. |
---|
접근환경 | |
---|---|
이용환경 | |
언어 | 한국어 |
원본의 존재와 위치 | |
---|---|
관련기록 | |
출판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