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사업으로써 전후방 파급효과와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산업이다. 우리 손으로 만든 위성을 우리발사체로 우리 땅에서 발사함으로써 우주 강국을 향해 도약을 이루는 동시에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을 전 세계에 전파하기 위해 나로호 발사가 추진되었다.
1992. 8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KITSAT-I, KaIsT SATtlite) 발사로 인공위성 보유국가로 등록
1993.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 관측로켓인 1단형 고체추진체 과학로켓 1호(KSR-I, Korea Sounding Rocket)·2호(KSR-II) 및 우리별 2호(KITSAT-II) 발사
1995. 8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1호(KOREASAT-I) 발사
1996. 4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우주개발계획인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수립
1996. 1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2호(KOREASAT-II) 발사
1997. 7 한·미 미사일 협정(Missile Guideline) 체결(발사거리 18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1998. 6 중형(2단형) 고체추진체 과학로켓 2호(KSR-II) 발사
1998. 8 북한, 대포동 1호·인공위성 광명성 1호 발사
1998.11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1차 수정
1999. 우리별 3호,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3호(KOREASAT-III) 및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1호(KOMPSAT-I,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발사
2000.12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2차 수정
2001. 1 한·미 미사일 협정 1차 개정(발사거리 30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2001. 1 고흥 외나로도 우주센터 부지 선정
2001. 3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가입
2002.11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체 과학로켓 3호(KSR-III) 발사
2002. 8 KSLV-I, 소형위성발사체(KSLV-I, Korea Space Launch Vehicle) 개발 계획 확정
2003. 9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 관측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STSAT-I, Science and Technology SATellite) 발사
2004. 9 KSLV-I, 한·러 우주기술협력협정 체결
2004.10 KSLV-I, 한·러 발사체시스템(KSLS, Korea Space Launch vehicle System) 협력계약 체결
2005. 5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 3차 수정
2005. 5 「우주개발진흥법」 제정
2005.12 KSLV-I, 발사체 시스템 상세설계 완료
2006.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2호(KOMPSAT-II) 및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5호 (KOREASAT-V) 발사
2006. 9 KSLV-I, 발사체 상단(2단) 엔지니어링 모델 개발 완료
2006.10 KSLV-I, 한·러 우주기술보호협정 체결
2007. 6 제1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07~2016) 수립
2007. 9 KSLV-I, 발사체 상단(2단) 인증모델 개발 완료
2007.12 KSLV-I, 한·러 기술협력계약 변경(개발 일정 및 발사 시기 확정)
2008. 4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이소연氏) 탄생
2008. 8 KSLV-I, 발사체 상단(2단) 비행모델 개발 완료
2008. 8 KSLV-I, 러시아 제작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 Ground Test Vehicle) 인수
2008.11 KSLV-I,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를 이용한 조립동 인증시험 완료
2009. 4 KSLV-I, 하단(1단) 지상검증용 발사체(GTV)를 이용한 발사대 인증시험 완료
2009. 5 나로호(KSLV-I) 이름 결정
2009. 6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장(나로우주센터) 준공
2009. 7 KSLV-I, 발사체시스템(KSLS) 최종 인증
2009. 8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A) 발사
2009. 7 나로호(KSLV-I) 비행모델 총조립 및 발사 운영시험
2009. 7 나로호(KSLV-I) 상단(1단) 로켓 최종 연소시험
2009. 8 2단형 우주발사체(1단 액체로켓, 2단 고체로켓) 나로호(KSLV-I) 총조립
2009. 8 나로호(KSLV-I) 1차 발사 실패(페어링 비정상 분리)
2010. 6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과학기술위성 2호(STSAT-2B) 발사
2010. 6 나로호(KSLV-I) 2차 발사 실패(소화장치 오작동)
2010.12 방송통신복합위성 무궁화 6호(KOREASAT-VI, 올레 1호) 발사
2011.12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수립
2012.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3호(KOMPSAT-III)·5호(KOMPSAT-V)
2012.10 한·미 미사일 협정 2차 개정(발사거리 800km, 탄두중량 500kg으로 제한)
2012.10 나로호(KSLV-I) 3차 발사 1차 연기(헬륨가스 주입 중 연결부위 결함)
2012.11 나로호(KSLV-I) 3차 발사 2차 연기(우주발사체와 발사대 연결부위 틈에 의한 고무링 파손, 상단(2단) 추력방향제어기에 과도한 전류 발생)
2013. 1 나로호(KSLV-I)·과학기술위성 2호(STSAT-2C, 나로과학위성) 3차 발사 성공으로 스페이스 클럽에 가입
2013.11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 발사
2013.11 제2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2012~2016)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