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42호, 1979. 3. 1)
「국민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10호, 1973. 2. 14)
「중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25호, 1973. 8. 31)
「고등학교 교육과정」(문교부령 제350호, 1974. 12. 31)
제3차 교육과정의 배경에는 「국민교육헌장」 반포와 유신헌법 제정이라는 정치적 변화와 함께 교육과정 이론의 면에서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이라는 요인이 작용하였다. 정치이념 교육의 강화 현상은 이미 1969년의 제2차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을 통해 나타났지만, 1972년 유신헌법의 제정 과정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또한 1960년대에 미국에서 나타난 기초과학교육의 강화 그리고 이를 위한 학문 중심 교육과정 이론의 등장이 1970년대 한국의 교육과정 이론에 영향을 미쳤던 것도 한 배경이 되었다.
문교부는 1969년 9월 기존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의견 수렴을 실시하고, 이후 장기종합교육계획심의회 교육과정연구반에서 의견을 종합하여 1980년대의 교육계획을 지향하는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교육과정 심의회는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1970년 1월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작성하였는데, 여기에는 〈국민교육헌장〉이념 반영, 지식의 팽창에 대응하여 기본개념 중점 지도, 교과편제 재조정, 학년별 주당시간 확대라는 기본 방향이 설정되었다. 이 교육과정 시안은 2년간 실험 평가를 거친 후 심의 조정을 거쳐 확정되었고, 1973년 문교부령 제310호, 제325호, 제350호를 통해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공포되었다.
이러한 개정 과정은 현행 교육과정 분석 → 의견 조사 → 외국의 사례 수집 → 시안 작성 → 실험 평가 → 심의 조정이라는 일련의 체계적 단계를 거쳤다는 점에서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하여 한 단계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제3차 교육과정은 정치 이념교육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국민교육헌장〉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고, 교육과정 이론의 특성에서 보면 학문중심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지로 기본방향의 주요 관심은 〈국민교육헌장〉의 이념 구현에 두어졌고, 교육과정 이론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의 측면은 부차적으로 다루어졌다. 우선 국민학교의 경우 모든 교육과정을 〈국민교육헌장〉의 정신으로 통일하려는 의도가 강하였다. 이전의 이념교육은 교과활동과 구분되는 반공·도덕 활동으로 간주되었지만, 이제는 과목 명칭을 도덕으로 변경하면서 교과활동에 포함시켰다. 중학교의 경우에도 이러한 특성은 대동소이하다. 특히 중학교는 중등보통교육기관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국민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강화되었다. 고등학교의 경우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하여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국민윤리 과목을 교과 영역에 포함시키고 주당 6단위 이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제3차 교육과정의 기본 성격은 이념교육의 강화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3차 교육과정의 배경 이론으로 거론되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특성은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교육과정 이론의 영향을 찾는다면, 교과내용 가운데 일부를 변경시키고, 수업시간을 확대하였다. 예를 들어, 국민학교 산수에 집합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킨 것과 주당 수업시간을 1∼2시간 정도 확대시킨 것이다. 그러나 교과 내용의 변화는 부분적인 수정에 한정되었고, 수업시간의 확대도 사실상 이념교과인 도덕 수업시간을 확대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유봉호, 『한국교육과정사연구』, 교학연구사, 1992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1984
홍웅선, 『교육과정신강』, 문음사, 1979
이혜영․최광만․윤종혁,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 3 해방 이후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8
교육50년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 50년)교육 50년사 : 1948-1998』, 교육부,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