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서비스를 통하여 정보이용의 사각지대인 농어촌 및 산간 오지에서도 간단한 수신 장비와 저렴한 이용요금으로 고속, 고품질의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초고속 정보통신 이용의 대중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위성을 쏘아 올림으로써 세계 10위권 항공 우주산업국 도약 계기가 되었고 일본, 중국, 동남아 지역까지 커버리지 확대, 해외시장 개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 과학 실험용 위성 : 우리별
1992년 8월 11일 발사된 우리별 1호는 개발비 38.2억 원을 들여 영국 써리대학에 기술 전수 및 공동개발 방식으로 만들어 졌으며 우리말 음성방송 실험, 지구 표면 촬영 실험, 우주 방사선 측정실험, 축적, 전송 통신 실험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93년 9월 26일 발사된 우리별 2호는 개발비 31.2억 원을 들여 국내 독자 기술로 만들어 졌으며 저 에너지 입자 검출기, 지구 표면 촬영 실험 소형 위성용, 차세대 컴퓨터 고속 변·복조 실험장치, 축적 전송 통신 실험, 적외선 감지 실험장치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99년 5월 26일 발사된 우리별 3호는 개발비 80억 원을 들여 고유의 소형 위성 독자 개발이라는 타이틀로 만들어 졌으며 이 위성은 정밀자기장 측정기, 방사능 연향 측정기, 고 에너지 입자 검출기, 전자 온도 측정기 등이 포함되어 있다.
2003년 9월 27일 발사된 우리별 4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위성으로 개발비 116억 원을 들여 지구의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태양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며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 물리탑재체, 고에너지 검출기, 저에너지 검출기, 랑마이어 탑침, 정밀 지구자기장 측정기, 데이터 수집 장치, 고정밀 별감지기 등을 탑재하고 있다.
2. 방송 통신 복합 위성 : 무궁화 위성
1995년 8월 3일 발사된 무궁화 1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신 위성이고, 직접 위성방송과 통신, 전파를 쏘아 보내면서 우리나라 우주시대를 여는 첨병 역할을 했지만 목표 궤도에 제대로 진입 못하여 위성의 수명이 절반 정도로 단축이 되었고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1996년 1월 14일 발사된 무궁화 2호는 무궁화 1호 위성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주 위성으로 실질적인 통신, 방송 복합 서비스 역할을 수행하였고 위성 고정 비디오, 위성 이동 중계, 위성전용망, 위성 이동 데이터, 디지털 위성 방송, 위성 인터넷 서비스 등을 탑재하고 있다.
1999년 8월 25일 발사된 무궁화 3호는 실제 수명이 무궁화 1,2호 보다 2배 이상인 12년이었으며, 남북통일을 대비, 남북한 전역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하였고, 동남아시아 지사와 국내 본사 간 통신망 구축 활용, 위성 관제 시스템의 개발형 구조 설계도 있고, 48개 채널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 지역 위성 서비스, 광대역 정보검색 서비스, 원격 진료 서비스,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을 탑재하고 있다.
2006년 8월 22일 발사된 무궁화 5호는 우리나라의 첫 민·군 공용위성으로 2호 위성 수명 종료로 서비스 대체를 위해 만들어 졌으며 고출력 중계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역위성통신서비스의 기능을 하며 36MHz Ku대역 중계기 24기를 탑재하며, 서비스 영역은 한반도를 커버하는 국내빔과 중국, 일본, 필리핀, 대만등을 커버하는 지역빔으로 구성된다. 또한 우리나라 첫 민·군 공용위성으로 고출력 중계기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역위성통신서비스의 기능을 하며 36MHz Ku대역 중계기 24기를 탑재하며, 서비스 영역은 한반도를 커버하는 국내빔과 중국, 일본, 필리핀, 대만 등을 커버하는 지역빔으로 구성되고, 2006년 7월 28일에 발사된 아리랑 2호는 1m급 카메라를 장착하였다.
3. 다목적 실용 위성 : 아리랑
1999년 10월 12일 발사된 아리랑 1호는 지구 저궤도용 다목적 실용 위성으로 지구 관측(한반도 지도 제작), 해양관측, 이온층 관층, 방사선 측정 등의 임무를 가지고 있다. 이 위성은 전자광학 카메라(EOC), 해양관측 카메라(OSMI), 이온층 측정기(IMS), 고에너지 입자검출기(HEPD)등을 탑재하고 있다.
2006년 7월 28일 발사된 아리랑 2호는 한반도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자연 및 환경변화 감시, 재난 및 재해지역 탐지, 농업, 어업, 임업 자원 정보제공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1m급 카메라를 장착하여 아리랑 1호 보다 정밀도가 40배 이상 향상되었고, 일반적인 기능 외에도 군사적으로도 큰 사용가치가 있다.
교육과학기술부(http://www.mest.go.kr/)
세기위성 자료실(http://www.sekisat.com )
최동수,『정보사회의 이해』, 법문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