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1. Home
  2. 기록물 열람
  3. 통합검색
  4. 분야별 검색

과학기술

대덕연구단지 조성 사업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배경

대덕연구단지와 같은 과학기술집적지의 조성은 1968년에 수립된《과학기술개발 장기종합계획》(1967∼1986년)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다수의 연구기관을 특정한 지역에 배치하여 인력과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연구성과를 극대화한다는 것이었다. 


이어 1973년 1월에는 대통령의 지시에 의해 연구·학원도시의 건설 및 서울시내 소재 정부연구기관의 지방 이전이 확정되었고, 같은 해 5월에는 대덕연구단지 건설계획에 관한 대통령의 재가에 의해 국가추진사업으로 확정되었다.대덕연구단지 조성사업은 1973년부터 1992년까지 약 20년에 걸쳐 추진되었다. 그 사업을 담당하는 주체는〈대덕연구단지 건설 추진위원회〉(1973년 9월∼1976년 4월),〈중화학공업추진위원회〉(1976년 5월∼1979년 10월),〈대덕단지관리사무소〉(1979년 10월 이후)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투자지원체제의 미비로 인하여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연구 및 교육기관의 입주가 부진하자 1990년 7월에는〈대덕연구단지 조기조성위원회〉가 구성되었고 이후에 동 위원회가 단지건설에 관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면서 1992년 11월 27일에 대덕연구단지가 준공되었다.

내용

1. 기본개념의 변화
대덕연구단지 건설에 관한 기본계획은 1973∼1992년에 13차례에 걸쳐 변경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대덕연구단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도 네 번이나 변경되었다. 1973년의 기본계획에서는 과학기술처가 건설주체이고 연구학원도시를 개념으로 삼았다. 1977년의 1차 수정안에서는 건설주체가 산업기지개발공사로 변경되었고 전문연구단지로 개념이 축소되었다. 이어 1981년의 2차 수정안에서는 건설부가 주체가 되면서 산업기지로의 성격이 강조되었다. 마지막으로 1984년에 확정된 3차 수정안은 건설주체를 토지개발공사로 하면서 연구단지의 개념으로 다시 전환되었다.


2. 토지 및 기반시설
대덕연구단지의 규모는 총 840만 평에 이르며, 그 중에서 교육연구시설이 399만 평(47%), 주거지역이 72만 평(9%), 상업지역이 11만 평(1%), 녹지 및 기타 지역이 358만 평(43%)을 차지하고 있다. 기반시설은 도로 34.7㎞, 전력 15만 ㎸, 통신 3만회선, 용수 97,000톤/일, 하수 90만톤/일, 주택 16,000세대, 공원 3개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밖에 복지관, 수영장, 체육공원, 종합운동장을 포함한 복지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3. 입주기관 및 인구
당초에 확정된 대덕연구단지는 연구·교육기관 50개와 인구 5만 명을 수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와 대통령이 확고한 정책 의지를 표명하고 대전 엑스포의 개최가 확정되면서 수용기관의 수는 60개, 인구는 7만 명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1992년을 기준으로 대덕연구단지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15개, 정부기관 3개, 정부투자기관 4개, 민간연구소 8개, 고등교육기관 3개 등 33개의 기관이 입주를 완료함으로써 종사연구원 12,000명, 단지상주인구 35,000명을 기록하였다.


4. 주요 성과
1992년을 기준으로 대덕연구단지의 입주기관이 담당한 대표적인 연구개발성과로는 초고집적 반도체 16M D램, TDX-10 전전자교환기, 원격 칼라사진 전송시스템, 산업용 엔지니어링 세라믹, 생체용 안구수정체, 퀴놀론계 항생제, C형 간염진단 시약, 우리별 1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덕연구단지는 공사 및 자재 구입, 금융기관의 이용, 고용기회의 확대 등을 통해 대전·충남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했는데, 예를 들어 1991년에는 대덕연구단지가 지역업체 발주액의 40%, 현지금융기관 여수신의 35.2%를 차지하였다.

참고자료

과학기술처《과학기술연감》각년도
과학기술부·대덕전문연구단지관리본부《대덕연구단지 30년사, 1973∼2003》2003

집필자
송성수(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종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