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기록관리

  1. Home
  2. 업무안내·자료
  3. 기록관리 업무소개
  4.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의 정의

ISO 15489, ISO 23081에서는 메타데이터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기록의 생산, 관리와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화된 혹은 반구조화된 정보’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ISO 15489-1(2016년)에서는 기록 관리의 원칙으로서 기록은 ‘메타데이터(metadata)*와 내용(content)’으로 구성된다고 선언함으로써 메타데이터가 기록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임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 메타데이터는 기록의 내용, 맥락, 구조 및 장기간에 걸친 관리사항을 기술한다.

메타데이터의 역할

  • ISO 15489-1(2016년)에 따르면 기록 메타데이터는 다음을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 업무맥락
    • 기록과 기록 시스템간의 의존성과 관련성
    • 법적, 사회적 맥락에 대한 관련성
    • 기록을 생산, 관리 및 이용하는 행위자에 대한 관련성
  • 기록 메타데이터는 그 자체가 기록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훼손∙허가받지 않은 삭제∙보유∙파괴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메타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인가된 접근과 허용 규칙에 따라 통제되어야 한다.

메타데이터의 구성

  • ISO 15489-1(2016년)에 따르면 기록 메타데이터는 다음을 기록하는 정보로 구성되어야 한다.
    • 기록의 내용에 대한 기술
    • 기록의 구조(예: 형태, 포맷 및 기록을 구성하는 컴포넌트간의 관계)
    • 기록이 생산, 접수, 이용되었던 업무맥락
    • 다른 기록과 다른 메타데이터와의 관계
    • 포맷이나 저장정보와 같이 기록을 검색하고 재현하는데 필요한 식별자나 기타 정보
    • 기록이 존재하는 동안 기록과 관련되었던 업무행위와 사건(행위의 일자와 시간, 행위를 수행한 행위자와 메타데이터에 대한 변경사항을 포함)

메타데이터의 유형

ISO 23081에서는 다음과 같은 메타데이터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 기록 자체에 대한 메타데이터
    • 생산일시, 생산자, 물리적, 기술적 속성에 대한 기본정보
    • 기록의 위치, 집합계층, 관련자 및 업무프로세스, 주제 · 분류에 대한 정보
    • 접근제한 사항에 대한 정보
  • 업무규칙이나 정책과 법규에 대한 메타데이터
    • 업무활동과 기록 생산관리 및 접근에 적용되는 규정상 요건에 대한 정보
  • 행위주체에 관한 메타데이터 생산자 및 조직에 대한 정보
    • 기록관리에 관련된 사람 및 조직에 대한 정보와 부여된 권한
    • 접근권한을 가진 사람 및 조직
  • 업무활동이나 과정에 관한 메타데이터
    • 기록이 발생된 업무기능 및 활동에 대한 정보 및 그 연계
    • 기록과 기록생산에 관여된 사람 및 조직과의 연계
    •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보안 및 접근규칙에 대한 정보
    • 기록이 발생된 업무 기능 및 활동과 기록을 분류하도록 하는 정보
  • 기록관리 과정에 관한 메타데이터
    • 특정한 기록관리 활동 수행을 위한 사람 및 조직 인가에 대한 정보
    • 기록과 기록계층, 기록과 기록 생산에 관여한 사람 및 조직의 연계에 대한 정보
    • 장기보존을 위한 필요사항에 대한 정보
    • 기록 처분에 대한 정보
  • 메타데이터에 관한 메타데이터
    • 위 다섯 가지 메타데이터 기록에 대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