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공공누리
원문이미지를 제공하는 기록물들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토지기록물
일제강점기부터 정부수립 직후까지 생산된 토지 임야대장, 지적ㆍ임야원도 등 지적 기록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관보
정부에서 발행한 관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 차관회의록, 안건철 등 국무회의 기록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정부간행물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간행물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독립운동 판결문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된 판결문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피해자명부
3.1운동 피살자,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건축도면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학교, 형무소, 병원, 지방청사 등의 설계원도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일제강점기 기록물
정부에서 발행한 관보를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정확한 검색을 하고 싶을 때 : “ ^ ” (Shift+6)를 사용 하세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하여 좀 더 폭넓게 검색하고 싶을 때 : 스페이스바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로 시작하는 단어가 포함된 문서를 검색하고 싶을 때 : “ * ” (Shift+8)를 사용 하세요.
특정단어를 제외하고 검색하고 싶을 때 : “ | ”를 사용 하세요.
기록관리기준표
제도안내
2003년까지 사용된 "공문서 분류번호 및 보존기간 표"는 정부의 기능을 기능별십진(技能別十進)분류방법에 의해 분류하고, 그 세부기능 항목별로 보존기간의 책정기준을 제시한 것이었다.
기능별로 문서가 편철되어 특정 단위업무(프로젝트) 내에서 생산한 문서들이 각기 다른 문서철에 흩어져 보관된다든지, 기능분류항목에서 누락되어 관련된 기록물들이 관리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임의로 낮은 보존기간을 책정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든지, 5년 단위로 개정됨으로써 업무현실을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을 갖고 있었다.
국가기록물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을 준비하면서, 기존의 "공문서 분류 및 보존기간 표"의 미흡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채택된 것이 "기록물분류기준표" 제도이다.
2007년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업무에 기반한 기록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기록물분류기준표” 제도를 대체할 정부기능분류체계(BRM : Business Reference
Model)를 기록분류체계로 도입하여 “기록관리기준표” 제도를 운용하도록 규정되었다.
기록관리기준표 제도는 2008년에는 중앙행정기관에서 도입·운영하였으며, 이후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등으로 도입·운영하게 되었다.
기록관리기준표의 개념
업무과정에 기반한 기록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정부기능분류체계(BRM : Business Reference Model)를 기록물 분류체계로 도입
BRM의 단위과제별로 업무설명, 보존기간, 보존기간책정사유, 기능유형 등을 규정하여 기록관리기준표로 운영
기록물 분류체계인 BRM의 구조
BRM 기능별 분류체계 상세설명
기록관리기준표는 BRM의 6레벨인 단위과제별로 업무설명, 보존기간 책정, 보존기간 책정사유 등을 지정하여 기록관리시스템(RMS)으로 생성ㆍ관리하게 된다.
기록관리기준표의 구조
이용안내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중 부칙 제2조에 따라 공문서분류번호 및 보존기간표가 2003년 12월 31일까지 계속 사용하게 됩니다.
※ 공문서분류번호 및 보존기간을 처음 이용하시는 분은 사용방법을 먼저 숙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용방법
클릭하면 공문서문류번호구성체계 및 사용방법을 볼 수 있습니다.
조기호표
* 클릭하면 조기호 관계문서의 보존기간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