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영역 | 참조코드 | AG30 | |
---|---|---|---|
제목 | 국방부 | ||
생산시기 | 1946~2014 | ||
기록물 유형별 수량 | 공문서 12,694권 ,도면류 286권 ,사진/필름류 2권 ,녹음/동영상류 2,891권 ,정부간행물 961권 | ||
기술계층 | 現기술계층 | 기록물군 | |
상위계층 | |||
하위계층 |
기록물하위군 7건
![]() ![]() |
||
배경영역
데이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
생산기관 | 국방부 | |
행정연혁 |
국방부는 1945년 11월 13일 미군정에 국방사령부가 설치됨에 따라 시작되었다. 1946년 3월 29일에는 국방사령부를 국방부로 개칭하였으며, 1946년 6월 15일에는 ...
![]() |
||
생산기관 | 국군간호사관학교 | ||
행정연혁 | |||
내용과 구조영역 |
범위와 내용 |
국방부는 1945년 11월 13일 미 군정청의 국방사령부로 시작하여 1946년 국방부로 기관명칭을 변경하였으며 1948년 「정부조직법」에 의해 국방부가 설치되어 현재까지 국방에 관련된 군정 및 군령과 그 밖에 군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고 있다. 국방부기록물군은 국방부의 조직 기능과 기록물 유형에 따라 행정지원, 국유재산 관리, 군 조직관리, 군사시설 환경, 국가배상 판결, 국방정책 수립, 국제 군사협력, 군 연금관리, 군 인사관리, 군 재정 관리, 국방부과거진상규명, 군수물자 관리, 사면 감형 및 복권, 사형집행, 삼청교육대 피해 보상, 예비군 운영, 전비품 손망실 처리, 정훈교육, 지시사항 관리, 기타 사무, 정부간행물의 총 21개 기록물 계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국방부의 소속기관 및 직할기관 기록물은 별도의 기록물 하위군으로 편성되어 국군체육부대, 국군의무사령부, 국군심리전단, 국방홍보원, 국방대학교, 근무지원단, 국립서울현충원의 7개 기록물 하위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