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법무/법제

행정소송제도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행정소송은 「행정소송법」에서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 등에 관한 소송절차 및 기타 공법상의 권리관계에 관한 소송절차를 정하고 있다.
배경
행정소송은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 그 밖에 공권력의 행사·불행사등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구제하고, 공법상의 권리관계 또는 법적용에 관한 다툼을 적정하게 해결하고자 한다.
내용
1. 행정소송의 의의
 행정소송은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관한 분쟁을 법원에 의해 해결하기 위한 정식의 행정쟁송절차이다. 행정소송은 그 내용에 따라 항고소송, 당사자소송, 민중소송 및 기관소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은 국민의 개인적 권리이익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소송이다. 반면에 민중소송과 기관소송은 객관적인 법질서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소송이다. 「행정소송법」은 직접 행정청의 처분 등을 공격하는 소송인 항고소송을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행정활동 그 자체에 관한 구제제도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2. 행정소송의 기능
 「행정소송법」은 행정소송절차를 통하여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 그 밖에 공권력의 행사 · 불행사 등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구제하고, 공법상의 권리관계 또는 법적용에 관한 다툼을 적정하게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행정소송법」 제1조). 즉 행정소송의 기능으로는 국민의 권리구제와 행정통제기능을 들 수 있다.

3. 행정소송의 특징
 행정소송의 특징은 원칙적 변론주의와 직권주의의 가미이다. 행정소송의 대상은 공익에 관계되는 사항이므로 행정소송의 심리에 있어서는 민사소송과는 달리 사실의 주장과 증거를 제출하는 책임을 당사자에게만 지우지 않고 법원이 직권으로도 증거조사를 할 수 있으며,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는 사실에 관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4. 사정판결
 원고의 청구가 이유있다고 인정되면 원칙적으로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그 무효를 확인하는 판결을 해야 하지만 원고의 이익뿐만 아니라 공익 또한 고려해야 하므로, 원고의 청구가 이유 있다고 해도 그 행정처분을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현저히 공공의 복리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법원은 원고의 청구를 기각할 수 있다. 취소소송에 있어서는 일반 민사소송과는 달리 개별법의 규정에 따라 전심절차를 거쳐야 되는 경우도 있고, 제소기간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삼권분립의 원칙에 입각하여 행정청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어떠한 행정행위를 할 것을 구하는 청구는 허용되지 아니한다.

5. 행정소송과 행정심판과의 관계
 행정심판은 처분을 행한 행정청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여 처분청의 상급기관으로 하여금 다시 한 번 심리하도록 하여 법원의 간섭 없이 행정청 스스로 행정의 능률성과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행정청에 마련된 제도이며, 이에 반하여 행정소송은 행정청의 위법한 처분, 그 밖의 공권력의 행사, 불행사 등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구제하고 공법상의 권리관계 또는 법적용에 관한 분쟁해결을 도모하는 법원의 재판절차이다. 취소소송은 법령에 따라 해당 처분에 대해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에도 이를 거치지 않고 제기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법률에 해당 처분에 대한 행정심판의 재결을 거치지 않으면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행정소송법」 제18조제1항).

6. 행정소송과 민사소송과의 관계
 행정소송은 행정목적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공법상의 법률관계를 대상으로 하고, 민사소송은 사법상의 법률관계를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행정소송은 「민사소송법」 등을 준용한다. 「행정소송법」과 「민사소송법」이 특별법과 일반법의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지만 행정소송은 대립 당사자 간에 발생한 법률적 분쟁에 대하여 사실관계를 확정한 후 법을 해석 · 적용함으로써 당해 분쟁을 해결하는 법 판단 작용이라는 점에서는 민사소송과 같으므로, 심판절차도 크게 다르지 않다. 행정소송에 관해 「행정소송법」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사항에 대하여는 「법원조직법」, 「민사소송법」 및 「민사집행법」의 규정을 준용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행정소송법」제8조제2항).
 「민사소송법」 준용의 한계도 있다. 「행정소송법」은 행정기능의 원활한 수행과 행정법관계의 조속한 안정을 위하여 당사자적격, 전심절차, 제소기간, 잠정적 구제제도 등에 관해 「민사소송법」과는 다른 여러 특별규정을 두고 있다. 또한, 행정소송이 개인의 주관적 권익 보호는 물론 다수의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법관계의 안정, 행정의 적법성 확보 등의 공익적 기능 달성이라는 목적에 따라 그 절차에도 직권주의적 요소가 가미되어 민사소송의 지배원칙인 처분권주의와 변론주의를 그대로 준용할 수 없고 직권소송참가제도, 직권심리주의, 사정판결제도 등에 관한 특칙을 두고 있다.

7. 행정소송 사건의 현황
【행정소송 사건】                                                                                         (단위:건)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접수

26,925

28,866

30,890

32,088

33,424

34,847

36,854

36,444

38,182

38,882

구수

14,003

14,900

16,821

16,608

16,920

19,400

21,346

20,289

22,317

22,775

신수

12,922

13,966

14,069

15,480

16,504

15,447

15,508

16,155

15,865

16,107

처리

12,058

11,919

14,080

15,055

13,875

13,118

16,071

13,091

14,592

13,285

승 소

5,711

5,702

6,859

7,640

6,692

6,635

7,867

6,371

7,132

6,290

패 소

1,444

1,463

1,644

1,514

1,607

1,601

2,047

1,865

1,702

1,740

취하등

4,903

4,754

5,577

5,901

5,576

4,882

6,157

4,855

5,758

5,255

미 제

14,867

16,947

16,810

17,033

19,549

21,729

20,783

23,353

23,590

25,597

참고자료
서울행정법원 홈페이지(http://sladmin.scourt.go.kr), 행정소송안내
법무부, 《2016법무연감》, 2016.
집필자
현대호(한국법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17. 12. 26
최초 주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