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교육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시행령」
배경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1998년부터 시작되어 3년 주기로, 참여국의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수학과학 소양(literacy)을 평가하여 국제적으로 비교 가능한 학업성취 지표를 산출하고 있다. 그 지표를 기초로 각국의 교육 정책 수립 및 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산출하는데 중요한 목적을 두고 있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이다.

경과

PISAOECD 회원국 중 의무교육 종료 단계에 있는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수학·과학 소양을 조사하며,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 교육 방법을 개선하고 표준화 관점에서 학생의 성적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프로그램의 개발이 1997년 시작되었고, 1차 조사는 2000년 이후 3년마다 조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OECD는 세계 각국이 자국의 교육체제를 점검하고 교육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1997년부터 PISA를 시작하여 첫 주기인 PISA 2000 이래 여섯 번째 주기인 PISA 2015를 진행하고 있다. PISA 참여국 현황을 주기별로 살펴보면, PISA 200032개국, PISA 200341개국, PISA 200657개국, PISA 200965개국, PISA 201265개국이었고, PISA 2015에는 71개국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자국 교육성과의 국제비교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PISA에 참여하는 국가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1주기 연구인 PISA 2000년부터 참여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매우 우수한 성취를 보였다.

내용

PISA는 대부분의 OECD 회원국에서 의무교육이 종료되는 시점, 즉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3년마다 읽기·수학·과학 소양을 평가하며,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참여국은 자국 교육체제의 누적적인 성과를 점검하고 있다. PISA는 학교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식보다는 실생활에 필요한 능력, 즉 지식을 상황과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는 소양을 강조한다. 실생활에 필요한 능력으로서 소양을 강조하는 PISA3주년을 주기로 읽기·수학·과학 소양을 평가하되, 주기별로 한 영역을 번갈아 가면서 주 영역으로 설정하여 이를 심층적으로 평가한다. 따라서 2000년은 읽기, 2003년은 수학, 2006년은 과학, 2009년에는 읽기, 2012년은 수학을 주 영역으로 다루고 있으며, 2015년은 과학을 주 영역으로 다룰 예정이다.

 

PISA는 주기마다 평가하고, 평가 문항을 개선하며, 평가 영역을 추가하면서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컴퓨터 기반 평가(Computer-Based Assessment; CBA)의 도입이다. CBA는 크게 컴퓨터 기반 소양 평가(Computer-Based Assessment in Literacies; CBAL)와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Computer-Based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CBAPS)로 구분된다. CBAL은 국가별 선택사항으로서 과학이 주 영역이었던 PISA 2006에는 컴퓨터 기반 과학 검사(Computer Based Assessment in Science; CBAS), 읽기가 주 영역이었던 PISA 2009에는 디지털 읽기 평가(Digital Reading Assessment; DRA), 수학이 주 영역이었던 PISA 2012에는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Computer-Based Assessment in Mathematics; CBAM)로 새롭게 도입되었다. 첨단 기술의 발달로 조성된 정보화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주 영역을 중심으로 PISA 2006 이후에 선택 사항으로 도입된 CBAPISA 2015에는 전체 영역으로 확대된다.

참고자료

김경희 외,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 (PISA 2009)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0-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송미영 외,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3-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PISA 공식사이트

집필자
정혜원(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14. 11. 12
최초 주제 수정
2014.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