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방/병무

한국형 첨단무기체계 개발사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1971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화포, 탄약, 통신․전자․기동장비, 해상 및 공중 무기체계 등 전 분야에 걸쳐 한국군의 무기체계 개발의 추진되었음.

배경

한국군의 무기체계 개발은 1971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화포, 탄약, 통신․전자․기동장비, 해상 및 공중 무기체계 등 전 분야에 걸쳐 국산화를 추진했다. 이후 60밀리 및 81밀리 박격포, 소화기탄, 박격포탄, 각종 유․무선 장비, 고속정 등의 개발에 착수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기본 무기체계를 양산하는 단계에 이르러 기관총, 유탄발사기, 20밀리 발칸포, 전차 성능개량, 105밀리 및 155밀리 견인곡사포, 한국형, 전투함, 다련장 로켓 등 일부 고도정밀무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추진되었다. 그리고 1978년 9월에는 사거리 180㎞ 지대지유도탄을 자체 개발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1980년대 이후 본격적인 한국형 무기체계의 개발에 주력했다.

내용

가. 한국형 무기체계의 개발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한국형 무기체계에 대한 자체 개발이 가능해지면서 이를 기반으로 1980년대부터는 기본 무기체계의 성능개량과 한국형 무기체계의 개발이 본격화되었는데, 한국형 소총, 신형 60밀리 박격포, 155밀리 개량견인곡사포, 장갑차, K-1전차, 초계전투함, 잠수정, 지대지유도탄, 단거리 함대함유도탄, 30밀리 자주대공포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 가운데 1984년 개발한 한국형 전투장갑차는 장비의 성능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1993년부터 말레이지아 수출을 시작으로 중동과 동남아 여러 국가들도 이를 구매했다. 그리고 도약기라고 할 수 있는 1990년대에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산․학․연 협력을 확대하면서 정밀무기체계의 독자적 개발에 주력하여 포병사격지휘장비, 반잠수 쌍동선, K731 중어뢰, 전투기용 전자전체계 등의 주력무기체계와 단거리 지대공미사일 ‘천마’, 공군기본훈련기 KT-1, 155밀리 신형자주포 K-9 등 첨단 고도정밀무기를 잇따라 개발했다. KT-1은 2001년 초 인도네시아로, K-9 자주포는 2000년 터키로 수출된 이래 여러 국가로 수출협의가 확대되었다.


나. 첨단무기체계의 개발 추진 

혁신기라 할 2000년대에는 핵심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고, 선도적 기술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2000년에는 중어뢰, 군단급 부대에서 운용하기 위한 정찰용 무인항공기, 2001년에는 함정용 전자전 장비, 2003년에는 함대함 유도무기 사업을 완성했다. 그리고 국해 항공산업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초음속훈련기인 T-5-0을 개발하는 등 첨단무기체계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다. 첨단무기체계의 개발 전망 

국방부의 첨단무기체계 개발은 ‘선택과 집중’의 전략하에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다목적 위성, 중고도 무인항공기 등의 감시․정찰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현무 성능개량, 중거리 대공유도탄 등 종심타격전력을 조기에 확보하며, 차기전차, 위성통신, 차기고속정 등 기반전력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등 21세기 첨단과학군 건설 및 핵심전력의 자립화를 위한 C4ISR+PGM을 위주로 지속적인 첨단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참고자료

국방부,《국방백서2004》, 상원아트콤, 2005.
국방부,《국방백서2006》, 신흥P&P, 2006.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국방편년사(1998~2002)》, 서울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4.

집필자
백기인(원광대 군사학부 외래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