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한강종합개발사업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수자원개발 10개년계획〉(1970~1980)
〈수자원종합개발계획〉(1981~2001)

배경

한강은 관개용수·생활용수·공업용수의 공급원으로 매우 중요한 수자원인데, 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경제우선주의적 개발정책에서 방치되었으며, 80년대에는 치수·미관·환경 및 오염문제 등을 다룰 종합적인 계획이 대두되었다. 또한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더욱 구체화 되었다. 이에 따라 한강 수질보전 대책 및 한강의 하천공간을 다목적으로 이용하며 한강이 지닌 개발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한강종합개발 추진 사업이 1982년 기본구상이 보고되었다.

내용

한강종합개발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의 한강 동측 경계인 강동구 암사동부터 서측 경계인 행주대교까지의 총연장 36km 구간이다. 이 사업은 1982년 9월 3·5공구가, 11월에 8개의 잔여공구 등 10개의 모든 공구가 착공하여서 1986년 9월에 준공되었다. 사업비는 총 9,560억 원이 투입되었고, 작업인원 총 420만 여명과 장비 총 1백만 2천대가 동원되었다. 4년 동안 한강에서 캐낸 모래와 자갈은 6,369만㎥이며 총공사비의 약 20%인 1,962억 원은 이러한 골재를 채취하여 아파트 건설현장에 팔아 판매된 수익금으로 충당하였다. 이 공사가 끝난 뒤 한강은 수중보공사 등을 통해 호수의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1. 저수로 정비
행주대로에서 암사동 간의 36km구간에 저수로 수심 2.5m 이상, 너비 725∼1175m, 저수호안 57.5km, 수위유지용 수중보 2곳, 유입지천 하상보호공 8곳의 건설이다. 이 사업으로 불안정한 하도를 정비하여 수로를 고정시키고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면서 수로 너비를 확보하여 하천경관을 개선하고 수상교통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천에 설치되는 이용공간은 항상 물이 흐르는 수심 2.5m의 저수로와 홍수 시에 물이 흐르는 고수부지가 있다.


2. 시민공원 조성
강동구 하일동에서 강서구 개화동에 이른 총길이 41.5km, 면적 39.9㎢의 광활한 지역에 조성 되었으며, 하천의 공지인 한강변 고수부지를 공원화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으로 한강 양안의 총 693㎡ 강변에 수상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지원을 위한 시설공간과 강변산책을 위한 정적공간을 형성하고, 제방 위에 강변도로와 고수부지 자동차진입도로, 지하보도 등 접근시설을 만들었다. 체육공원 10곳에 축구장 30, 농구장 24, 배구장 35, 정구장 28개가 마련되었고 초지 346만 5000㎡를 조성하여 자연학습장 등으로 활용하고 잠실지역에는 주차장과 자전거도로가 건설 되었다. 고수부지는 광나루지구, 천호지구, 잠실지구, 뚝섬지구, 성수지구, 잠원지구 등 총 13개 지구에 총면적 6.94㎢로, 자연환경지구가 3.83㎢이고 시설광장지구가 3.11㎢이며 각 지구별로 특성화된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3. 올림픽대로 건설
자동차 전용의 도시고속화 도로로 서울의 동서교통 체증을 해소하고, 강변 관광도로의 역할로 김포공항과 올림픽경기장을 직접 연결하여 국제행사에 대비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한강변의 남쪽을 따라 양화대교에서 암사동까지 연장 26km의 기존 왕복4차선 강변도로를 8차선으로 확장하였으며, 양화대교에서 행주대교 10km에는 제방을 쌓아 그 위로 6차선도로를 건설하여 총공사비 1천 4백 12억 원, 연인원 1백 6만 여 명을 투입하여 착공 3년 8개월 만인 1986년 5월에 개통되었다. 이 도로공사로 올림픽대교에는 국내에서 가장 긴 길이 2,070m의 노량대교를 비롯하여, 염창교·동작2교·청담2교·신천2교 모두 5곳에 교량과 6곳에 입체교차시설이 신설되었다. 접속도로 34곳, 지하보도, 차도 등의 30개의 고수부지 접근시설이 신설 또는 개수되었다.


4. 분류하수관로와 하수처리장 건설
분류하수관로는 연안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수와 하수가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채집하여 안양하수처리장 등 3개의 하수처리장 등 3개의하수처리장을 도수하기 위한 하수전용관로이다. 한강의 수질오염방지를 위해 한강의 지류인 탄천·중랑천·안양천·양재천·불광천 등의 하천을 따라 총연장 274km의 분류하수관로를 설치하였다. 한강의 수질보전을 위한 하수처리장을 배수구역별로 계획하여 난지하수처리장은 1일 100t, 강남지역의 안양하수처리장은 1일 20만t, 탄천배수구역의 탄천하수처리장은 1일 50만t으로 1일 360만 여t의 하수를 정화하여 공장폐수 및 생활하수를 깨끗하게 정화한 후 한강에 배수된다. 이러한 하수시설로 인하여 한강의 수질이 개선되었으며 한강 주변의 생태계도 살아나고 수상 레크리에이션과 유람선이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참고자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정보센터(http://www.diglib.kowaco.kr)
새마을운동중앙회(http://www.saemaul.com)
한강시민공원(http://www.hankang.seoul.go.kr)
건설교통부《수자원장기종합계획보고서》2001

집필자
강용배(한성대 국제대학원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