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교육

Wee 프로젝트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위(Wee) 프로젝트 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
배경

학교와 교육(지원),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력으로 위기상황에 노출된 학생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망을 구축·운영함으로써 학교부적응 학생 해소 및 인적 자원의 유실을 방지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선도, 치유하기 어려운 위기 학생들에 대해 교육청 차원에서 지역사회지원망을 구축하고 진단-상담-치료로 이어지는 전문컨설팅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추진되었다.

 

20083월 정부는 학교 안전관리통합시스템 구축을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선정하고, 같은 해 6월 범정부 차원의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방안 계획 수립을 발표한 이후 프로젝트> 정책연구를 수행하여(2008.6~8.) 200810월 부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사업을 추진하였다. 20097월 한국과학창의재단을 운영지원기관으로 지정하였으며, 같은 해 2월에는 충남천안교육청 등 31개소에 Wee센터를 운영하였다. 이후 지역교육청기능개편방안에 따라 Wee센터를 전국에 설치하는 계획을 발표하였고(2010.4.26), 한국교육개발원을 프로젝트> 운영 주관 기관으로 지정하여(2010. 8) 관련 사업을 진행하였다.

내용

(Wee)”“We(우리들)Education(교육)”, “We(우리들)Demotion(감성)”의 이니셜이며, 여기에 하트()를 접목시킨 브랜드이다. Wee마크의 둥근 원은 학교를, 하트()는 사랑의 서비스, Wee는 우리들의 감성공간을 의미한다. 어른들에게는 나(I)와 너(you)속에 우리(we)를 발견할 수 있도록 사랑으로 지도하고, 학생에게는 감성과 사랑이 녹아 있는 Wee 공간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내자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Wee 프로젝트는 정서불안, 폭력, 학교부적응, 일탈행동 등 위기 학생에 대한 촘촘한 3단계 안전망 구축 사업이다.

1차 안전망으로 단위 학교 내 Wee클래스를 운영하고, 학교 부적응 학생을 조기 발견하여, 예방 및 학교 적응력 향상을 지원한다. Wee클래스는 학습부진, 따돌림, 대인관계 미숙, 학교폭력, 미디어 중독, 비행 등으로 인한 학교부적응 학생 및 징계 대상자들이 서비스 대상이 된다.

2차 안전망으로 지역교육청에 Wee센터를 설치·운영하며, 단위학교에서 선도 및 치유가 어려워서 의뢰된 위기 학생 및 상담 희망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전문가의 지속적인 관리를 통한 진단-상담-치유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3차 안전망으로 시·도 교육청에 Wee스쿨을 설치·운영하는데, 장기적으로 치유가 필요한 고위기군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숙형 장기위탁 교육 서비스를 통해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장기적인 치유나 교육이 필요한 학생 또는 학교나 Wee센터에서 의뢰한 학생이나 학업 중단자들의 적응을 조력한다.

 

Wee 프로젝트는 2008Wee클래스 530개교, Wee센터 31개소를 시작으로 하여, 2010Wee클래스 2,530개교, Wee센터 110개소, Wee스쿨 5개교가 개교하였으며, 2014년 기준 전국적으로 5,479개의 Wee클래스, 181개의 Wee센터, 8개의 Wee스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Wee 프로젝트는 전문 상담 교사보다는 전문 상담 인턴교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정규직 보다는 비정규직 종사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질 높은 상담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Wee프로젝트는 자체적으로 홈페이지를 만들고, Wee센터 매뉴얼 등을 제작 보급하는 한편, Wee소식지를 만드는 노력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Wee클래스가 있는 학교의 무단 결석률과 학업중도탈락률이 현저하게 낮았으며, 기초학력 미달학생의 비율도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상담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필요한 경우 적극적으로 Wee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학생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기의 성과를 발판으로 하여 학교급별 특성에 맞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Wee 프로젝트를 실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자료

한국교육개발원, Wee 프로젝트 운영 개발 모델, 한국교육개발원, 2011

김인규, Wee 프로젝트 인력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사회과학논총27-2, 2012

집필자
손은령(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14. 11. 12
최초 주제 수정
2014.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