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지방행정

자연보호국민운동 전개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1977년 9월 10일 정부월례경제동향 대통령 보고시 대통령 특별지시
배경
1977년 9월 5일박정희 대통령이 경상북도 금오산도립공원을 방문하면서, 각종 쓰레기들이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을 보고, 범국민적 자연보호운동 전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작되었다.
내용

1. 자연보호운동 추진기구
가. 1978년 추진기구
1978년 자연보호운동이 시작될 당시 자연보호운동 추진기구는 크게 정부단위와 민간단위로 구성되었다. 정부단위에서는 자연보호위원회(위원장 : 국무총리)와 자연보호실무위원회(내무부 소속)를 설치하였다.


자연보호위원회는 정원을 20명 이내로 규정하여, 위원장인 국무총리, 부위원장인 경제기획원장관과 내무부장관, 그리고 국방, 문교, 농수산, 상공, 동력자원, 건설, 보사, 교통, 문공 및 과기처장관과 서울특별시장이 당연직위원으로 되어 있고 민간인으로서는 자연보호를 위한 민간기구의 대표로서 자연보호협의회위원장과 자연보호를 위한 연구기관인 한국자연보존협의회회장을 위원으로 위촉하여 참여시켰다.


실무위원회는 정원을 25명 이내로 규정하여 위원장인 내무부 지방행정국장을 위시하여 당연직 위원으로는 경제기획원예산심의관, 내무부 자연보호담당관 및 내무부치안본부 제2부장, 국방부동원예비군국장, 문교부 새마을교육담당관, 농수산부농업기획관, 상공부기획지도관, 동력자원부정책조정관, 건설부국토계획국장, 보사부환경관리관, 교통부관광국장, 문공부공보국장, 과기처과학기술심의관, 산림청임정국장, 수산청기획관리관, 문화재관리국문화재관리관 및 서울시내무국장으로 되어 있고 이와 아울러 위촉위원으로서 자연보호협의회사무국장, 한국자연보존협의회사무국장, 한국산악회총무이사 그리고 한국공원협의회사무국장이 참여하였다.
민간단위에서는 자연보호협의회, 시·도, 시·군 자연보호협의회, 자연보호회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당시 전국 224개의 자연보호협의회와 4만 4천여개 자연보호회가 구성되어 770여만명의 회원이 참여하였다.


나. 1979년 추진기구
1979년에는 자연보호운동 추진기구의 세분화가 이루어졌다. 정부조직에서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자연보호위원회, 내무부 소속 자연보호실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정부조직의 자연보호위원회와 자연보호실무위원회의 구성은 1978년 추진기구와 동일하며 다만 민간기구에 자연보호중앙협의회가 기존의 자연보호협의회를 대체하여 명칭의 변경이 발생하였다.
민간단위에서는 자연보호중앙협의회, 시·도 자연보호협의회, 시·군·구 자연보호협의회, 자연보호회 등의 조직과 유관단체로 한국자연보존협회, 한국국립공원협회, 한국산악회, 한국환경보전협회, 한국야생동물보호협회, 한국동굴보존협회 등을 두었다. 1979년 12월 31일 현재 자연보호회는 모두 66,621개회가 조직되어 1,100만명의 회원이 참여하였다.


2. 자연보호 국민운동 성과
자연보호 국민운동의 가장 큰 성과는 바로 자연보호헌장의 제정이다. 내무부에서 1978년 7월 5일 학계, 언론계, 문화계 등 각계 전문가 100명을 위촉하여 자연보호헌장제정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제정위원회 중에서 11명을 다시 헌장심의위원으로 위촉하여 6차례에 걸진 수정작업을 거쳐 초안을 작성한 다음, 3차례의 심의위원회를 열어 헌장 제정위원회와 지연보호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1978년 10월 5일 자연보호헌장을 공포·시행하게 되었다.
이후 도의 꽃·새·나무를 지정하여 특별 보호관리하도록 하였으며, 식품제조업자들을 자연보호운동에 참여하도록 지도하여 식품포장지나 용기에 반드시 자연보호 계도문을 포함시키도록 하였다. 책임구역 정화활동, 안버리기 범국민운동, 비닐류 폐기품 수집운동, 계절별 자연보호 활동 등의 다양한 자연보호운동이 전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자료

내무부,《자연보호백서》내무부, 1979
내무부,《자연보호백서》내무부, 1980

집필자
김주환(강남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