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방/병무

반공포로석방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원인

이승만 대통령은 1953년 6월 18일 전국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반공포로 2만7천여 명을 미국과 사전 협의 없이 전격적으로 석방하여 국제사회를 놀라게 했다. 「이승만 대통령의 반공포로석방 명령」은 회담에 한국대표가 불참한 가운데 우리의사와 관계없이 마무리되고 있는 회담에 대해 미국에게 항의와 경고도 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자 취해진 극단적인 행동이었다. 


이 대통령이 최초 반공포로 석방을 구상한 것은 그들을 공산군에 넘겨줄 수 없다는 인식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열망, 그리고 휴전협상에서 한국의 주장이 고려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한 것이었다.

내용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원용덕 헌병총사령관은 제네바협정 전문을 검토하여 설사 국군의 지휘권이 유엔군에게 이양되어 있다하더라도 한국은 교전 당사국으로서 영토적인 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휴전회담장에서 포로교환 협정이 체결된 날인 1953년 6월 8일 이 대통령은 원 장군의 보고를 받고 즉시 “오늘부터 모든 헌병은 헌병총사령관의 지휘 하에 들어갈 것”을 명령하고 또 그 자리에서 반공포로 석방 명령서도 하달하였다.


휴전회담의 진척이 가시화 되자 한국 곳곳에서는 휴전반대 궐기대회가 가열되고 있었다. 미국 정부는 한국의 입장으로 인해 상당히 곤혹스러워 했지만, 그렇다고 회담의 진전을 멈출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이런 시점에 한국정부는 전국적으로 준 비상계엄령을 하달하였고, 도미 중인 육군참모총장 백선엽 대장 이하 전 장병을 귀국시키고 회담대표단에서 한국대표를 소환하였다. 


원용덕 헌병총사령관은 1953년 6월 9일 육군헌병사령관 석주암 준장, 부사령관 송효순 대령 등을 호출하여, 반공포로 석방계획을 설명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결정하였다. 그는 거사 일을 ‘6.18.24;00시’로 결정하고 광주.마산.부산.영천.논산 등 각 지구별로 밀사를 선발하여 작전명령을 하달하였다.


급기야 3만 6천명의 반공 포로들이 일순간에 석방되었다. 반공 포로들이 대한의 품에 안기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반공포로들이 석방되자 각 지역의 경찰과 주민들이 그들을 돌보며 지원해 주었다. 이 대통령은 대부분의 반공 포로들이 탈출에 성공한 사실을 보고받은 후 이날 오전 사전에 준비된 성명을 발표하였다.


한국정부가 반공포로들을 석방시키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은 미국정부였다.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그의 자문들은 한국정부의 행동에 대해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다. 클라크 유엔군 사령관은 이 사건이 휴전회담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즉시 성명을 발표하여, 그것이 한국정부의 단독 행동이었으며, 수용소내의 미군들이 탈출을 막기 위해 애썼으나 허사였다는 내용을 강조하였다.


반공포로 석방은 이 대통령이 어떠한 일이라도 단독으로 단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었다. 이것은 또한 모든 국군과 군사시설이 유엔군사령관의 지휘아래 있다고 할지라도 한국 대통령이 휴전회담을 결렬시키기로 결심만 한다면 그것을 얼마든지 파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시사해 준 것이었다. 비록 우리 뜻과는 달리 회담이 추진되었지만, 반공포로 석방은 강대국의 지원을 받아 전쟁을 수행하는 국가로서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조치였다.

참고자료

송효순 <<대석방>> 신현실사, 1973.
한표욱 <<한미외교요람기>> 중앙일보사, 1984.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휴전사>> 서라벌, 1989.
양대현 <<휴전회담 비사>> 형성출판사, 1993.

집필자
양영조(군사편찬연구소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7.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