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방/병무

유엔군 참전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배경

북한군의 침공을 받게 되자 한국 정부는 즉시 이 사실을유엔한국임시위원단 (UNTCOK )과 주한 미국대사관에 통보하면서 유엔과 미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남침행위를 즉각 중지시켜 줄 것을 요구했다. 미국도 한반도사태를 유엔을 통해 해결하려 했다. 


6월 25일(뉴욕시간) 유엔은 안전보장이사회를 소집하고, 미국이 제출한 '북한군의 침략 중지 및 38선 이북으로의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유엔은 그때의 결의안을 통해 강력한 의지를 과시함으로써 침략자들이 순응해 주기를 기대했다. 그러나 침략자들은 유엔 안보리의 '경고성' 결의를 무시했으며 침략 행위를 중지하지도 않았다.

내용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은 "북한이 유엔의 결의안을 준수할 가능성이 전혀 없으며 조기에 한국정부가 전복될 수 있다"는 비관적인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에서는 '6·26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그 같은 6·26결의에 따라 미국의 육 ·해 ·공군이 본격적으로 전쟁에 참가하게 되었다. 미군의 참전에 이어 자유진영 32개국이 유엔의 결의를 지지했으며,7월 중순에는 지지국이 52개국으로 증가했다. 그 후 한국을 돕기 위해 16개국이 전투부대의 파병을, 5개국이 의료 또는 시설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유엔에 통보했다.


*유엔을 지원한 국가

-전투부대 파병(16개국) : 미국.영국.오스트레일리아.네델란드.캐나다.뉴질랜드.프랑스.필리핀.터키.타이.그리스.남아프리카공화국.벨기에.룩셈부르크.콜롬비아.에티오피아 등


-의료지원부대 파병(5개국) : 스웨덴.인도.덴마크.노르웨이.이탈리아 등


-물자 지원(20개국) : 아르헨티나.볼리비아.브라질.칠레.코스타리카.쿠바.에쿠아도르.엘살바도르.아이슬란드.이스라엘.레바논.리베리아.멕시코.니카라구아.파키스탄.파나마.파라과이.페루.우루과이.베네수엘라 등


유엔 안보리는 유엔 회원국이 한국에 파견하게 될 부대의 지휘체제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7월 7일, 영국과 프랑스가 공동으로 제안한 「유엔군사령부 설치에 관한 결의안」을 가결시켰다. 결의안의 요지는 “유엔군사령부의 설치 및 사령관의 임명권을 미국에 부여하며, 유엔기 사용을 승인한다”는 것이었다.


이 결의에 따라 미국은 극동군사령관 맥아더 원수를 초대 유엔군사령관에 임명했다. 이에 따라 맥아더 원수는 도쿄에 유엔군사령부를 공식적으로 창설하고, 극동군사령부의 참모진들을 유엔군사령부 참모로 겸임 발령했다.


이에 따라 유엔군사령관은 미 극동군사령부의 각 구성군 사령관인 미 제8군사령관, 미 극동해군사령관, 미 극동공군사령관을 통해 유엔 지상 ·해 ·공군을 지휘하는 지휘체제를 수립했다. 이어서 7월 8일, 미 제8군사령관 워커(Walton H. Walker)중장을 유엔군 지상군사령관으로 임명해 13일부터 지휘권을 행사하도록 조치했다.

참고자료

국방부 <<한국전쟁사>>제1권 국방부, 1967.
양영조 외 <<한국전쟁>>(상) 신오성, 1995.
남정옥 <<한미군사관계사>> 군사편찬연구소, 200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제3권 신오성, 2005.

집필자
양영조(군사편찬연구소 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7.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