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교육

문맹퇴치 5개년 사업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배경

1945년 해방 직후 남한 지역 비문해율은 12살 이상 전체 인구(10,253,138)의 약 78%(7,980,922)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일제는 한국을 식민지화하기 위한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말과 글의 사용을 금지했기 때문에 당시 대다수의 국민들이 한글을 알지 못하는 비문해 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에 미군정청은 비문해의 문제를 관장할 성인교육위원회를 조직하고, 성인 교육사를 양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문 강습소를 설치 운영하였으며, 1946공민학교 설치령에 따라 공민학교를 설치 운영하는 등 학령기를 초과하여 초등교육의 기회를 받지 못한 아동, 청소년 및 성인들을 위한 교육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3년 동안 78%의 비문해율을 1948년 정부 수립 시 약 41.3%로 낮아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정부는 교육의 1차적 과제로 초등의무교육의 정착과 더불어 문맹퇴치를 통한 국민 계몽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19506.25사변의 발발로 이러한 계획은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휴전협정 이후 정부는 본격적으로 초등 수준의 교육 체제를 정비하기 위하여 의무교육완성 6개년 계획(19541959)과 함께 문맹퇴치 5개년 계획(19541958)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학령기의 아동들이 초등 수준의 의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제도를 정비함과 동시에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한 국민들을 위한 보완적 정책을 마련하고자 했던 것이다.

내용

문맹퇴치 5개년 사업은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한 국민들의 기초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1954년도에 수립된 문맹퇴치 5개년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1954년부터 1958년까지 5차년에 걸쳐 실시된 평생교육 사업이다. 문맹(文盲)이란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을 장님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해당자를 무능력자 또는 불구자로 비하하는 부정적인 용어이다. 최근에는 문해(文解)’ 또는 비문해(非文解)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문해라는 뜻은 문맹의 반대 개념으로 문자해득, 문화 이해능력 또는 문화적 해방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문맹이라는 용어 대신에 문해 또는 비문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문맹퇴치 5개년 계획은 문교부를 중심으로 하여 내무부, 국방부 등의 정부 각 부처가 협력하는 방식으로 되었다. 1954년 민의원 선거를 앞두고 문교부에서 국민 완전 문맹퇴치 계획안을 제출하였고, 같은 해 216일에 국무회의에서 의결하였다. 이 계획에 따라 이루어진 문맹퇴치 5개년 사업은 1958년까지 5개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사업은 매년 농한기를 이용하여 70내지 90일간을 교육하였는데, 내용은 초등학교 2학년 수준의 읽기, 셈하기, 기초적 과학 지식 등에 관한 것이었다. 연차별 구체적 사업내용과 성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차 계획에 의한 사업은 문교부 계획에 따라 1954318일부터 531일까지 75일 간 실시되었다. 문교부는 교육을 담당하고, 내무부는 참여를 독려하는 역할을 하였다. 국방부는 비문해 군인들의 교육을 담당하였다. 19세 이상 2,692,0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전국 84,190개의 교육반을 설치하고, 88,700명의 강사를 배치하여 1,972,115명에게 문해교육을 실시하였다.

2차년도 사업은 1955312일부터 531일까지 81일 간 실시되었다. 이 때 대상자는 만 12세 이상 비문해자 남녀 전원이었다. 이 때 전국에 62,192개소의 교육반을 설치하고 65,168명의 강사를 위촉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당시 1,370,000명이 참여하였고, 1,053,000명이 수료하였다.

3차년도 사업은 1956120일부터 331일까지 만 12세 이상 45세 이하의 비문해자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때에는 내무부 뿐만 아니라 농림부와 보건사회부도 참여하여 문교부가 추진하고, 농림부, 보건사회부, 내무부의 협조로 전국의 교육 대상자 1,115,000명 중 712,000명을 교육시켰다.

4차년도 사업은 1957120일부터 420일까지 90일 동안 이루어졌는데 3차년도와 마찬가지로 만 12세 이상 45세 이하의 비문해자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에 20,694개의 교육반을 설치하였고, 24,345명의 강사를 위촉하였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419,000명이 수료하였다.

마지막 제5차년도 사업은 1958년 문교부, 내무부, 공보실을 중심으로 본 사업을 추진하여 1958121일까지 70일간 만 12세 이상 비문해자 남녀를 대상으로 33,185개의 교육반을 설치하였고, 39,364명의 강사를 위촉, 배치하여 교육하였다. 그 결과 1,145,000명이 참여하였고 이 중 582,300명이 수료하였다. 정부는 문맹퇴치 5개년 사업의 결과 194578%였던 비문해율이 사업종료 연도인 1958년에는 4.1%(12살 이상 전체 인구 13,713,873, 비문해자 562,982)로 격감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전후복구와 산업화에 매진해야 하는 국가적 상황에서 국민들의 기초학습능력을 높이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었다. 이점에서 문맹퇴치 5개년 사업은 국가가 주도하여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국책 사업으로 단기간 내에 국민들의 문해율을 높여 근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사업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비슷한 시기에 다른 기관에서 발표한 비문해율은 여전히 22.1%(중앙교육연구소, 1959), 27.9%(경제기획원, 1960), 13.7%(내무부, 1959)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당시에 정부가 발표한 비문해율이 한국사회의 비문해 현황을 제대로 반영한 것인가라는 의문을 낳는다. 이 때문에 문맹퇴치 운동이 전 국민의 기초학습능력을 한 단계 상승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지만 이후 정부가 본 사업에 대한 성공 선언과 함께 문해교육에 대한 관심을 거두어들임으로써 오히려 문해교육의 위축을 가져왔다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

참고자료

문교부, 문교40년사, 문교부, 1988

황종건, 사회교육의 이념과 실제, 정민사, 1994 

집필자
허준(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