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외교

금융위기와 IMF 긴급자금지원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원인

1997년 동아시아를 몰아친 금융위기로 인해 한국 역시 외환위기를 겪으며 1997년 12월 5일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지원을 요청하게 되었다.

내용

국내적으로는 1997년 1월 한보철강의 부도를 시작으로 삼미와 진로, 기아 등 대기업이 연쇄적으로 부도사태에 이르렀고, 대외적으로도 1997년 여름 이후 타이와 인도네시아에서 환율이 급등하고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1997년 가을 이후 대미 달러 환율이 급등하기 시작하였고, 주식시장도 폭락하기 시작했다. 11월에 들어서서 김영삼 행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였고, 11월 21일 김영삼 대통령은 대외채무를 갚지 못해 발생할 국가부도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요청하며, 국제통화기금이 요구한 강력한 국내적 경제개혁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12월 3일 마침내 한국정부는 미셸 캉드쉬 국제통화기금 총재와 구제금융 합의서에 서명하였고, 국제통화기금은 12월 5일 1차 지원금 56억달러를 긴급지원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경제정책 전반이 국제통화기금의 관리체제에 놓이게 되었다.
한국의 금융위기는 대외적으로는 아시아의 전반적인 금융위기에 영향을 받은 바도 크지만, 국내적으로 기업의 과도한 해외 단기 차입금과 당시 김영삼 행정부가 부실 재벌이었던 한보와 기아 등에 대한 처리가 늦었고 외환 관리에 실패하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1997년도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가 어려워지자 외국 투자기관들은 한국의 경제도 곧 어려워 질것이라고 판단하여 투자자금을 무더기로 빼내 간 것도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집필자
성신여대 산학협력단(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