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정보통신

DMB방송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발생배경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 전환(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가 선발 국가가 겪는 서비스 확산의 지체 문제를 해결하고 후발 국가로서 누릴 수 있는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고려하면서 DAB의 도입 문제는 점차 동영상 서비스를 추가한 복합적인 서비스의 도입 문제로 개념이 진화되었다. 이렇게 지상파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대안으로 처음 논의되기 시작한 DAB의 도입은 논의 과정 중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 필요와 압축과 전송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 제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초기 논의 과정에서 지상파 라디오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기본 개념으로 상정했던 DAB 서비스는 오디오 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DAB’라는 개념으로 소화하기 어려울만큼 서비스 성격이 변했다는 판단 아래 방송위원회에서 ‘DMB’라는 용어로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지칭하게 되었다.


구체적인 DMB의 도입 목표와 매체 위상에 대한 정책적인 혼선이 빚어지는 가운데 DMB 서비스는 수신료를 바탕으로 하는 유료 서비스인 위성 DMB와 광고 수익을 바탕으로 하는 무료 지상파 DMB 서비스로 양분되었다.


동일한 서비스를, 하나는 무료 방송 서비스로 또 다른 하나는 유료 방송서비스로 나누어 놓은 상태에서 결국 두 서비스는 경쟁적인 위치에 놓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빚어진 것이다. 두 서비스를 차별화 할 수 있는 컨텐츠가 무엇이며 장기적으로 두 서비스가 시장에서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도입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내용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용이나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2005년 12월 1일에 지상파 방송이 시작되었다.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지상파 DMB의 개국은 IT 강국의 위상을 세계에 드높인 또 하나의 쾌거이며 우리 경제의 차세대 성장동력이며 향후 5년간 생산 유발 효과가 12조원에 이르는 등 디지털컨텐츠 산업에도 큰 활력을 불어넣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는 IT분야의 강세를 지속시키기 위해서 DMB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차량용, 노트북형과 USB형태의 다양한 수신단말기를 개발하고, 이를 시장에서 평가받고 수출의 길을 열기 위해서는 지상파 DMB가 개통된 것에 높은 점수를 주고 있다. 


위성 DMB는 세계 최초의 휴대전화를 통한 이동휴대방송 위성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가 첫 전파를 발사, 역사적인 `손안의 TV'시대가 2005년 5월에 본격개막됐다. 


TU미디어는 세계 최초로 이동휴대방송 개념을 브랜드화 한 `테이크아웃 TV(Take-out TV)'이라는 슬로건과 다양한 콘텐츠를 앞세워 공중파 방송의 사각지대를 집중 공략할 방침이다. 위성DMB는 특히 단말기가 TV화면이자, 리모컨이고 자신의 의견을 직접 전달할수 있는 매체 특성에 맞게, 시청자가 시청과 동시에 투표로 우승자를 결정하는 오디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쌍방향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위성DMB는 특히 기존의 오디오 및 비디오 방송과 연계된 연동형 데이터방송 서비스에 주력키로 하는 한편 교통과 날씨, 증권 등의 독립형 데이터방송도 기존 방송과는 차별화된 위성DMB만의 서비스 모델을 개발·실시할 방침이다. 


첫 위성DMB 서비스가 이뤄진 이날 오디오는 자체 채널인 채널블루 외에 음악(m.net), 뉴스(YTN), 영화(홈CGV), 스포츠(MBC-ESPN/SBS DMB스포츠), 드라마(MBC드라마넷/SBS DMB드라마), 게임(온게임넷) 등 비디오 7개 채널로 채워졌다. 또 논스톱 음악채널 12개(뮤직시사회, 최신가요, 최신팝, 올드가요, 재즈&월드,클래식&뉴에이지 등), DJ음악채널 4개(스타DJ, 데뷔클럽, 매니아클럽, 클럽3040),영어ㆍ중국어 회화, 스타&스포츠, 오디오북 등 20개 오디오 채널이 가동됐다. 특히 TU미디어는 재난 발생시 긴급 자막고지, 그룹메일 등을 활용해 즉각적으로재난 상황에 대처해 나가고, 서비스 미가입자도 수신이 가능하도록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의 채널 등을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TU미디어는 이를 위해 기상청과 재해방송 관련 협정을 체결하여, 재난방송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역사적의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휴대용나 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2005년 12월 1일 지상파 방송이 시작되었고, 휴대전화를 통한 이동휴대방송 위성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가 우주전송용 13㎓대역의50㎒와 지구전송용인 12㎓대역의 25㎒, 2.6㎓대역의 25㎒ 주파수를 이용, 상용 DMB위성서비스에 들어갔다.

참고자료

한국전파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orpa.or.kr/)
방송통신심의위원회(http://www.kocsc.or.kr/)
구제길,《DMB 시스템 기술(지상파 DMB 구현)》 진한엠엔비, 2006
지경용,《차세대 디지털 컨버전스 DMB 서비스》 전자신문사, 2005

집필자
홍봉화(경희사이버대학 정보통신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