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정보통신

교육정보화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정보화 추진 사업〉교육과학기술부

배경

교육과학기술부는 1996년도부터 2단계에 걸쳐 교육정보화종합발전방안을 시행하여 모든 학교에 PC와 인터넷 등의 물적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에듀넷 등을 통해 ICT활용 교수-학습 자료와 방법을 보급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세계 5위(아시아 1위) 수준의 e-러닝 준비도(e-Learning Readiness)를 갖추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처럼 우수한 정보화 인프라를 바탕으로 교육부는 국가 인적자원 개발 및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 차원의 e-러닝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2004년 4월부터 전국 고등학생을 상대로 ‘EBS수능강의’가 실시되고 있고, 2005년 3월 중순부터는 16개 시·도교육청에서 방과 후 온라인 자율학습체제인 ‘사이버 가정학습지원체제’가 전격 출범하여 초·중학생의 사교육비 절감효과를 거두고 있다. 동시에, 에듀넷을 통해 중앙교수학습센터가 새롭게 개통되어, 교사에게는 효율적으로 수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학부모에게는 다양한 교육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교육과학기술부는 초·중등 단계뿐 아니라 고등교육과 평생·직업교육 분야를 아울러 e-러닝이 인적자원 개발의 전략적 역할을 담당하도록〈e-러닝의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다. 


2005년도에 이러한 추진전략이 가시화되면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지식기반사회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e-러닝을 인적자원 개발에 적극 활용하여 국가경쟁력의 핵심동력으로 삼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인적자원 개발의 핵심부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그간 정부 각 부처에서 산발적으로 추진 중이던 e-러닝 사업을 총괄·지원하는 메커니즘 구축도 포함되어 있다. 국가경쟁력의 원천인 국가학습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e-러닝이 매우 중요한 전략이다. 이는 e-러닝의 특징과 장점을 극대화하여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체제로 변화를 촉진함으로써 교육 및 인적자원 개발의 혁신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식기반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학습권을 국가 차원에서 보장하기 위해서도 e-러닝은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의〈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 인적자원 개발 추진전략〉에서는
1. e-러닝을 통한 공교육 보완·혁신
2. e-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핵심인력양성
3. e-러닝을 통한 직업능력 개발
4. e-공동체 구축을 통한 사회통합 등 4대 중점과제
5. e-러닝의 국제화 등 기반조성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내용

2001년도부터 2005년도까지 추진된 2단계 교육정보화종합발전방안의 공식적인 명칭은〈교육 혁신과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정보화종합발전방안〉으로, 주요 추진목표는 전 국민의 지식기반사회 대처능력 배양, 창조적 산업인력 양성, 함께 하는 정보문화 창달, 종합적 성과 지원체제 구축 등으로 요약된다. 각 추진목표에 따른 내용을 살펴보면,


1. 전 국민의 지식기반사회 대처능력 배양을 위하여 정보 활용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사이버 공간 등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만 15세 이상 모든 지역, 모든 계층의 국민이 인터넷으로 홈쇼핑, 홈뱅킹, 전자상거래, 취업 등 일상생활 및 생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 창조적 산업인력 양성에서는 대학과 직장에서 지속적인 지식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직업인의 전문 정보 활용 능력을 신장한다. 또한 우수한 정보통신산업 인력 양성체제를 강화하여, 교육·훈련과 자격, 생업을 연계하는 인적자원 개발체제를 정비하고, 학술정보 생산 표준화와 유통체제 구축으로 OECD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함께하는 정보문화 창달 측면에서 모든 국민이 정보문화의 창달에 동참하고 이를 향유할 수 있도록 지식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사이버 시민의식(Cyber Citizenship)을 갖추게 하고, 소외 지역·계층의 정보문화 생활을 지원하여, 정보격차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4. 종합적 성과지원체제 구축에서는 전 국민이 학습과 일을 통해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정보화 평가를 통한 사업의 효율성 제고와 법·제도적 개선을 추구하며, 교육정보화 인프라를OECD 수준으로 고도화하고 전자 교육행정체제 구현으로 행정의 투명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을 추진하였다.


이 같은 추진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2단계 교육정보화종합발전방안〉은 크게 10개 대과제와 이에 따른 38개 소과제가 수립되어 있는데 


1. ‘지식기반사회 대처능력 함양’을 위한 3개 대과제
2. ‘창조적인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2개 대과제
3. ‘함께하는 정보문화 창달’을 위한 2개 대과제
4. ‘종합적 성과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3개 대과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2단계 교육정보화종합발전방안〉은 매년 수립되는‘교육정보화촉진시행계획’에 그 내용을 반영하여 전년도 사업추진과 성과에 대한 평가, 당 해년도 사업계획 수립, 차년도 사업계획에의 환류로 이어져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참고자료

교육과학기술부(http://www.mest.go.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홈페이지(http://www.keris.or.kr)
교육인적자원부,《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집필자
홍봉화(경희사이버대학 정보통신과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