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보건

학교보건사업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학교보건법」
배경
학교는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중심으로 그 중요성이 크다. 그 이유는 사업대상자(초등학교에서 대학생)가 총 인구의 대략 25%를 차지하고 있고, 보건 교육을 통해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시기에 학습한 내용이 생애 삶의 질을 좌우할 만큼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학교보건(School health)이란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고 보건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고 건강한 습성을 길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쾌적하고 안전한 학교환경을 조성하여 학습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보건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학교보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업을 학교보건사업(school health program)이라고 하며 그 시대의 필요와 그 나라의 교육보건체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예를 들어 전염병이 만연하는 시대나 나라에서는 전염병 예방을 위한 사업이 학교보건사업의 중심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과거 기생충박멸 사업을 학교를 중심으로 전개하여 장내기생충의 유병률을 30년 만에 80%에서 0.2%로 끌어내린것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학교보건사업의 성공적인 시행결과로 보고하고 있다.


각 나라들은 자국의 보건의료체계와 필요성에 따라 학교보건사업을 전개해왔는데 미국과 일본의 경우 학생의 신체검사를, 영국에서는 보건교육 위주의 학교 보건사업을 전개하였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유사한 보건의료전달체계를 운용하고 있어 1951년 신체검사규칙을 제정하고 신체검사와 전염병 예방위주의 학교보건사업을 실시해 오다가 1967년 학교보건법과 시행령이 제정되면서 학교보건의 개념이 학교주변의 교육환경과 학교급식을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예상치 못한 새로운 형태의 학교보건문제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학교보건사업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내용
학교보건사업은 학교보건서비스, 학교보건교육, 학교환경관리, 지역사회 연계와 같이 4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학교보건서비스는 건강평가와 예방사업이 있다. 건강평가란 신체검사, 구강검진, 신체계측, 위생상태점검, 교직자의 건강에 대한 사업을 말하며 예방사업에는 각종검사, 전염병 예방사업, 응급처치, 구강보건, 학교급식에 관한 것이 포함된다. 둘째, 학교보건교육은 정규적인 또는 계획적인 보건교육과 관련 교과목과의 연계된 보건교육, 실제 학교의 행사 또는 개인의 경험, 교실생활과 관련한 보건교육, 그리고 학생활동과 지역사회 활동을 통해 교육의 기회를 갖게 된다. 셋째, 학교환경관리는 교내외 환경 오염, 교지 선정, 교실크기, 정화구역 선정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넷째,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자원의 활용이 필요하다.


그동안의 학교보건사업으로 1946년 최초로 결식아동을 위한 구호급식이 시작되었고, 1951년 제정된 “학생신체검사규정”에 의해 학생들의 발육과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체격, 체질(1955년) 및 체력검사(1958년)를 실시하였다. 이후 질병예방과 건강보호를 위한 결핵검진사업(1955년), 기생충검사 및 구충사업(1957년) 등이 실시되었다.


1967년과 1981년에 “학교보건법”과 “학교급식법”이 각각 제정되었고, 학교보건관리지침, 학생건강기록부운영 등이 일선학교에 시행되었다. 학교보건사업으로는 학생건강기록부작성(1970년), 학교방역사업 및 혈액검사사업(1971년), 학교환경개선을 위한 학교환경위생 정화사업(1975년), 학교급수의 위생관리(1977년), 구강보건사업(1979년), 조명·소음·진동 및 방음관리사업(1980년), 근시예방사업(1988년), 척추측만증 스크리닝 시범사업(1993년), 청소년 약물남용예방의 일환으로 청소년약물반응검사사업을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증진법(1995년)에 의해 보건소 중심의 건강증진시범사업(1998년)이 시작되면서 학교가 건강증진사업의 대상이 되었다. 2006년 이후의 학교보건사업으로는 교육환경개선ESCO사업(2006년), 깨끗한 학교만들기사업(2007년), 친환경그린스쿨조성사업(2009년), 학교안전통합시스템사업 (2009년), 학교안전강화사업(2010년), 학생들의 맞춤체력증진을 위해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을 도입하였고(2009년), 건강증진시범학교(2009~2010년), 건강증진연구학교(2010~2011년), 건강증진모델학교(2012) 등 혁신적인 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참고자료
신우성. <외국의 학교보건> 대한의사협회 2003.2.20 116-123
교육인적자원부,《학교보건·급식 기본방향》, 2004
교육인적자원부,《학교보건(급식) 50년사》, 2001
이규영. 학교보건교육 발전을 위한 지원방안연구, 적십자간호대학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9
장창곡 <우리나라의 학교보건제도와 학교보건사업의 발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12;25(2):143-146,
집필자
한동운(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