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보건

만성질환 관리 정책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보건의료기본법」
「국민건강증진법」
「암관리법」
「모자보건법」

배경

현대사회에서 감염성 질환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비하여 만성질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첫째, 평균수명의 증가, 둘째, 생활양식의 변화, 셋째, 산업기술의 발달로 건강에 대한 위해요소의 증가, 넷째, 진단기술의 발전이다. 서구가 200년에 걸쳐 경험한 과정을 약 50년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에 겪고 있는 우리나라는 만성 질환 또한 지난 50년간 급속이 증가해 왔다.

경과

1. 1970년
국가 주요 관심 질환은 결핵, 수인성 전염병과 같은 전염병의 예방에 있다.


2. 1980년∼1990년
주요 관심은 질병보다도의료보험 도입, 의약분업과 같은 의료제도의 개선이었다.


3. 1990년 이후
암의 국가적 관리 계획이 수립되고 국민건강증진기금이 설치되면서 각종 건강증진 사업이 시작되었다.


4. 2000년 이후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이 2002년에 수립되어 2005년에 수정·보완이 이루어졌다.

내용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건강생활의 실천확산
금연, 금주, 운동, 영양을 관리한다.


2. 예방중심의 건강관리
암관리, 고혈압, 당뇨병, 비만, 관절염, 에이즈, 결핵, 구강보건, 정신보건을 관리한다.


3.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모성보건, 영유아보건, 노인보건, 근로자건강증진, 학교보건을 관리한다.


4. 인구집단별 건강관리
건강형평성을 확보한다.

참고자료

한문덕,〈국가만성질환관리대책〉《신규공중보건의사중앙직무교육교재》보건복지부 외, 2006

집필자
한동운(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14. 0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