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분야별 검색

  • Home
  • 기록물 열람
  • 통합검색
  • 분야별 검색

국토및지역개발

인천국제공항건설

주제유형
하위주제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제설명
근거

「항공법」(법률 제8014호)
건설교통부〈국토의 계획과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2004

배경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과 국민소득 향상과해외여행자유화 등으로 항공운송사업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김포국제공항은 주변의 주거지역 밀집과 장애구릉, 여객 및 화물수송의 증가 등으로 더 이상의 추가확장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21세기 국제항공수요에 원활히 대처함은 물론 포화된 항공수요를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에 신공항을 건설하게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은 항공운송산업의 급격한 변화추세에 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운영 가능한 최첨단 미래형의 동북아 HUB空港化를 목표로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였다.

내용

1. 공항 건설사업
인천국제공항 건설 사업은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 간석지를 매립하여 1,700만 평의 부지를 조성하여 1992년부터 2020년까지 4단계로 나누어 추진하게 되었다. 


제1단계로 1989년부터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를 거쳐 1992년 11월 남쪽과 북측 방조제공사를 시작으로 2000년 6월까지 주요 공항시설물을 완공하고 동년 12월에 마무리 되었다. 총 사업비 7조 8,079억 원이 투입되었다. 개항할 때까지 수차례의 종합시운전을 시행하고 여객과 수하물 및 항공기를 동원한 가상훈련을 실시 점검한 후 2001년 3월 29일 개항하였다. 


제2단계 사업은 4조7천억 원으로 제3활주로 건설과 계류장 확장을 위한 부지 조성공사로 250만 평을 착공하고 공항구역내의 관세자유지역 30만평과 국제사무지역 5만 평에 무역·물류업체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공항부지면적은 1단계에는 부지면적 355만 평, 여객터미널은 15만 평 규모이나 최종단계에는 1,435만 평의 부지와 26.4만 평의 여객터미널을 갖추어서 2010년에는 여객 3,287만 명과 화물 337만t, 2020년에는 여객 1억 명과 화물 700만t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적인 공항으로 예측된다.


2. 접근교통시설 추진 사업
인천국제공항 접근교통시설인 고속도로는 1995년 민간자본으로 착공되어 연륙교기초 및 교각공사를 시행하여 2000년 11월 21일에 6∼8차선으로 개통되었으며, 전용철도 건설 사업은 총사업비 32,880억 원이며 복선 61.5km로 서울역을 기점으로 김포공항에서 인천까지는 2005년, 김포공항에서 서울역까지는 2008년 각각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민간제안사업으로 제2연륙교 사업은 캐나다 AGRA사가 1998년 9월 투자의향서에 서명하고 12월에 국내 Project Company를 설립 하였다.


3. 추진시설
인천국제공항은 세계 3번째 규모인 높이 100.4m에 넓이 179㎡인 관제탑과 길이 3.75km, 폭 60m짜리 2개인 활주로가 있어서 항공기의 이착륙이 편리하고 각 활주로마다 초대형 여객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최첨단의 시설이 갖추어진 공항이다. 또한 여객터미널의 시설은 엘리베이터 104대와 에스컬레이터 130대, 자동보도 46대, 수화물 운송설비 4대 등 승객편의 시설과 면세점, 매점 등 각종 상업시설과 귀빈실 등이 있다.


4. 추진 결과
현재 우리나의 공항은 인천, 김포, 제주 등 7개선의 국제공항과 울산, 여수, 포항 등 10개의 국내선 공항이 운행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육지가 아닌 섬 위에 세워진 관계로 안개로 인한 항공기 이착륙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와 인천 육지부를 연결하는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를 통해서만 공항에 접근할 수 있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 교류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국동부까지도 중간기착 없이 비행할 수 있는 등 지리상의 이점이 커서 세계적인 HUB 공항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일본·중국·유럽 등과의 국제항공노선을 확대하여 2008년에는 세계10위, 아시아 2위권 공항으로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참고자료

건설교통부〈건설교통업무계획 대통령업무보고 자료〉2002
건설교통부 철도청〈고속철도 건설관련 연계교통망 확충계획〉2002
건설교통부 지방항공청〈소속기관자체평가서〉2003
건설교통부〈신항공건설기획단 자료〉

집필자
강용배(한성대 국제대학원 교수)
최초 주제 집필
2006. 12. 01
최초 주제 수정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