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바일 전용 메뉴 호출

R&D연구보고서

암호설정 등 내용열람 불가 전자기록물 처리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윤준수 연구참여자 5명
연구기간 2018- 05- 23 ~ 2018- 11- 30 분야 전자기록
발간등록번호 11-1741050-000021-01
첨부파일
국문요약 ○ 연구 목표 - 전자기록물 이관에 있어 DRM 및 암호설정 등이 적용된 내용열람 불가 오류로 인한 이관 기록물의 기록관리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의 근본적인 개선 및 해결을 목적으로 함 - 현재 전자기록물 암호화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록물 이관 이슈사항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근본적인 개선 및 해결방안 제시 목표 - 전자기록물 이관 상 암호설정, 내용열람 불가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제도 개선 및 기술적 처 리 방안 마련 목표 ○ 연구 내용 1) 문서 DRM, 암호설정 등 내용열람 불가 전자기록물의 암호화 오류 유형 분석 - 16대, 17대, 18대 대통령기록물 분석을 통해 내용열람 불가 전자기록물의 오류 현황을 조사하였 으며, 이를 통하여 DRM 및 암호설정 유형과 DRM 및 암호설정 기관을 식별 - 전자기록물 소프트웨어 제품군 별 전자문서 헤더 분석 및 구조적 분류 기준 수립을 통해 전자기 록물의 암호설정여부 확인 PoC 수행 - DRM 제품군 별 전자문서 헤더 분석을 통해 제조사 식별 불가함 조사 2) 암호화 오류 유형별 전자기록물 복호화에 대한 국내외 기술 현황 및 사례 분석 - DRM 기술, 국내외 기술 동향을 분석을 통해 암호화 오류 유형에 대한 암호화 기술 현황 조사 - 전자기록물의 암호화 및 복호화 생산 유통 절차에 대한 국내외 법령 조사 3) 암호화 오류 유형 분류에 따른 전자기록물 처리 방안 연구 - 전자기록물의 S/W 제품군 별 암호 유형 및 암호 알고리즘 분석 및 암호 해독 프로그램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수행을 통해 암호 해독 가능 여부에 대해 연구 - 컴퓨팅파워 기반 암호해독의 논리적인 연산속도와 그에 따른 해독시간 연구를 통해 암호해독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기준과 모델 정의 - DRM 판매사와 전자문서의 복호화 방안을 협의를 통해 디지털데이터 복호화에 대한 절차 및 필요성 정의 4) 내용열람 불가 전자기록물 사전 필터링 등 절차 개선 연구 - 전자기록물 이관 전 사전필터링 처리 모델 연구를 통해 총 4가지의 처리 모델 도출 - 전자기록물 등록 및 이관에 관련된 법제도 분석을 통해 필터링 시스템 도입을 위한 현행법 개선 방향 연구 및 개선 예시 제시 ○ 연구 결과 - [기술적 측면] 전자기록물 이관 단계별 필터링 시스템 적용 방안 및 처리 모델 도출 - [법제도 측면] 전자기록물 이관 시 필터링 절차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 예시 제시 - [법제도 측면] DRM 적용 전자기록물 복호화 처리를 위한 국가기록원 중심의 협의체 구성 방안 제 시 - [기 대 효 과] 전자기록물의 생산단계부터 영구보존단계까지의 전자기록물의 가용성 및 무결성 확 보함으로서 기록물의 목적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영문요약 ○ Purpose of study - The purpose of study is to fundamentally improving and solving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 that due to the unreadable error caused by DRM and password - Presenting fundamental improvements and solutions based on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 caused by password - Presenting improvement of system and technical processing plan by analysis of the types of setting password and types of unreadable electronic record ○ Contents of study 1) Analyzing the type of DRM or password of unreadable electronic record - Researching unreadable e-record error status through analyzing 16th, 17th, and 18th presidential records, and identified type of DRM or password, institution of creating the e-record, based on result of research - Processing PoC to verify setting password of e-record by analyzing e-document's file header and establishing structural classification standard - Researching unable to identify DRM product by analyzing e-document's file header 2) Analyzing technologies and cases of decrypting e-record - Researching encryption technologies based on type of password error, through analyzing DRM technology, technology trends - Researching laws and regulations for process of generating and distributing of encryption and decryption e-records 3) Processing method of e-record by classification of password error type - Analyzing possibility of decryption through researching type of password and cryptographic algorithm of e-document S/W product - Defining standard and model of decrypting system by studying the logical operation speed of computing power-based decryption - Defining necessity of procedures for digital data decryption through meeting of decryption method of e-document with DRM seller 4) Improving method of processing e-record such as pre-filtering - Defining 3 of processing models through the study of the pre-filtering processing model of e-record - Presenting improvement methods and examples of existing laws for filtering system by analyzing laws related to e-record ○ Result of study - [Technique] Defining of applying method and processing model of e-record filtering system - [Legal system] Presenting examples of improving law to support the filtering procedure of e-record - [Legal system] Applying configuration plan of DRM Association to processing DRM encrypted e-record - [Effectiveness]By ensuring the availability and integrity of e-record from the generation stage to the preservation stage, guarantee the purpose of the records
이전글 전자기록관리 실습도구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다음글 파일손상 전자기록물 복구 프로토타입 연구